김치만 많이 먹는 한국인, 이것 섭취해야…"간암 위험 확 줄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간이 딱딱해지는 간경변증(간경화)은 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
그런데 이런 간경변증 환자가 하루에 채소를 240g 이상 먹으면 간암에서 가장 흔한 간세포암(HCC)이 발생할 위험이 65%나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랬더니 매일 240g 이상 채소 섭취 그룹의 간세포암 발생 위험은 240g 미만 섭취 그룹보다 65%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북소르본 대학 연구팀, 간경변 환자 179명 추적
간이 딱딱해지는 간경변증(간경화)은 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 그런데 이런 간경변증 환자가 하루에 채소를 240g 이상 먹으면 간암에서 가장 흔한 간세포암(HCC)이 발생할 위험이 65%나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채소에 풍부한 식이섬유, 파이토케미컬(식물영양소) 등 항산화·항암·항염증 성분의 섭취가 부족하면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을 부를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다.
프랑스 북 소르본 대학 영양역학연구팀 플로리안 맨빌(Florian Manneville) 박사팀은 간경변증 환자 179명을 대상으로 하루 채소 섭취량 240g 미만 섭취 그룹, 240g 이상 섭취 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수년간 추적하며 식단과 간세포암 발생 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그랬더니 매일 240g 이상 채소 섭취 그룹의 간세포암 발생 위험은 240g 미만 섭취 그룹보다 65%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채소를 많이 챙겨 먹는 식단이 간경변증 환자 등 간암 고위험 집단의 간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간학회가 발행하는 최상위급 학술지(JHEP Reports) 최신호에 '간경변증 환자의 과일·채소 섭취와 간세포암 발생 간의 연관성'이란 제목의 논문으로 실렸다.
주목할 건 전체 연구 대상자의 42.5%가 과일·채소 섭취 부족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프랑스는 하루 400g 이상의 과일·채소 섭취를 권장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보다 많은 '500g 이상'을 권장한다. 이는 한국인이 하루에 김치를 평균 115g 먹기 때문에 절임 채소를 제외한 생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세계보건기구보다 많게 설정한 것이다.
하지만 2022년 기준으로 실제 하루 500g의 권장량을 섭취하는 비율은 24.6%로, 4명 중 1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남성에선 20.7%, 20대에선 11.9%에 그쳤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채소에 든 항산화 성분과 미량 영양소가 항산화·항염 효과를 발휘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을 낮췄을 가능성이 있다"며 "채소 섭취를 늘리는 게 간암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식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점차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는 간세포의 수가 과도하게 적어지면서 단백질 합성, 해독 작용 등의 간 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황달, 간성 뇌증)이 발생한다. 간암 발병률도 많이 증가한다.
세계암연구기금과 미국암연구소는 1997년부터 식이섬유 섭취와 암 발생 위험 간의 관계를 평가해왔다. 2018년 발표된 최신 보고서에선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이 대장암 발생 위험을 줄인다고 했다.
원광대 식품영양학과 이영은 명예교수(전 대한영양사협회장)는 "과일·채소 섭취가 부족하면 인체의 수많은 활동에 필요한 영양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나쁜 물질이 쌓여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채소·과일의 다량 섭취가 부담스럽다면 과채주스, 특히 생(生)성분을 보유한 착즙 주스를 만들어 먹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착즙 주스는 채소 과일을 열을 가하지 않고 저온에서 눌러 짜는 방식이어서 열에 약한 영양소의 손실분이 적다. 이에 항산화 영양소, 효소 등 살아있는 채소·과일의 영양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김수현 첩이 많아 '황후 자리' 힘들었다 들어"…김새론 친구 폭로 - 머니투데이
- "손예진, 연 이자만 6억 손해"…244억 강남 건물 텅 비었다, 어쩌다 - 머니투데이
- 故김수미, 김혜자에 "천국 도착했다" 문자…서효림 펑펑 운 사연 - 머니투데이
- "국가대표 축구? 이젠 안 설레"…김신영, 홍명보호 졸전에 '일침' - 머니투데이
- 김대호 "출연료 100배 상승…퇴사 결심한 계기는 올림픽 중계" - 머니투데이
- 故강수연, '사망률 50%' 시한폭탄이 머리에…"증상없어 모른듯" - 머니투데이
- 보수, 전략적 선택 시작? "김문수·홍준표, 결선행"vs"한동훈 진출" - 머니투데이
- "뉴욕 남편이 가스라이팅"…유튜버, 김새론 연애사 들추며 새 의혹 - 머니투데이
- 오윤아, 이혼 후 10년…"발달장애 아들, 아빠와 교류 없다" 고백 - 머니투데이
- '추신수♥' 하원미 "5500평 미국집 2배 뛰어 200억…패닉룸도 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