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속임수로 아마존 면접 뚫었다…한인 20대, 논란 속 75억 투자 유치

나은정 2025. 4. 23. 1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한 한인 20대가 자신이 개발한 '부정행위 AI'(인공지능)를 이용해 빅테크 인턴십 면접을 통과하고 스타트업을 설립해 수십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해 화제다.

22일(현지시간)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21살의 한인 로이 리(한국명 이정인)와 닐 샨무감이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 '클루엘리(Cluely)'는 최근 530만 달러(약 75억 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클루엘리 창업자 로이 리(한국명 이정인) [테크크런치 홈페이지 갈무리]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미국의 한 한인 20대가 자신이 개발한 ‘부정행위 AI’(인공지능)를 이용해 빅테크 인턴십 면접을 통과하고 스타트업을 설립해 수십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해 화제다.

22일(현지시간)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21살의 한인 로이 리(한국명 이정인)와 닐 샨무감이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 ‘클루엘리(Cluely)’는 최근 530만 달러(약 75억 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 스타트업은 시험과 면접, 영업, 통화 등 여러 상황에서 상대방을 속일 수 있도록 돕는 ‘클루엘리’라는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저 내 보이지 않는 창을 통해 질문에 대한 실시간 답변이나 요약 정보를 AI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 창이 상대방에게는 보이지 않아 AI를 이용한 부정행위가 가능하다.

클루엘리는 애초 개발자 채용 면접시 코드 문제를 실시간으로 해결해주는 ‘인터뷰 코더(Interview Coder)’라는 이름의 AI 서비스로 개발됐다. 이씨는 올 초 이를 이용해 아마존, 메타 등 대형 빅테크 개발자 인턴십 면접을 통과해 오퍼까지 받았다.

클루엘리 영상 속 한 장면. [로이 리 X 캡처]

그러나 이씨가 채용 면접을 본 것은 인터뷰 코더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었고, 이 AI 서비스를 사용해 면접을 치르는 과정을 유튜브에 공개해 이목을 끌었다. 결국 아마존이 학교 측에 항의해 징계를 요구하면서 컬럼비아대 2학년이던 이씨는 지난 2월 정학 1년의 징계를 받고 학교를 자퇴했다.

이후 클루엘리를 창업한 이 씨는 지난 21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서비스 출시를 알리며 “모든 것을 속이자”(cheat on everything)고 했다.

이씨에 따르면 클루엘리는 연간 기준으로 매출이 300억 달러를 넘어섰다.

한편 X에서는 이씨가 클루엘리를 이용해 나이와 예술 지식에 대해 거짓말하며 여성과 소개팅하는 영상도 공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씨는 자신만 볼 수 있는 창을 통해 AI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아 상대방과 대화를 주고받는다.

이를 두고 테크크런치는 “일부는 이 영상이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고 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를 디스토피아적인 SF TV 쇼 ‘블랙 미러’를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며 “클루엘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