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민간 '우주 동맹'…30개 기업 뭉쳤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메리디언인터내셔널센터.
한·미 4차 우주대화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행사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주도할 양국의 민간 기업이 머리를 맞댔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주항공청 주도 첫 민간협력
현대차·LIG넥스원 등 참석
우주방산 제조 수요 갈수록 커져
"한국이 美의 최적 파트너"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메리디언인터내셔널센터. 한·미 우주방산 분야 주요 기업 30여 곳이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에선 존리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을 수석대표로 현대자동차, LIG넥스원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고 미국에선 스텔스 폭격기를 개발한 세계 최대 우주방산 기업 노스럽그루먼,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세운 발사체 기업 블루오리진 등의 핵심 관계자가 참석해 ‘한·미 뉴스페이스 세미나’라는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이 같은 규모로 양국의 민간 기업이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주 로봇주행 플랫폼 공동 개발
16일 우주항공청은 외교부, 메리디언인터내셔널센터와 공동으로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다. 한·미 4차 우주대화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행사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주도할 양국의 민간 기업이 머리를 맞댔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우주방위산업만 해도 미 항공우주국(NASA) 등 관(官) 중심에서 스페이스X 같은 민간 기업으로 주도권이 넘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우주 시대가 열리면서 대량 제조 역량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미국으로서도 제조 역량이 풍부한 한국과의 우주 동맹을 원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LIG넥스원만 해도 정찰위성과 감시·추적 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노스럽그루먼은 미군의 주요 정찰·통신 위성 체계를 구축한 기업이다. 한국형 감시위성 체계(KASS)와 미래 군사통신 인프라 구축 등의 분야에서 공조할 여지가 많다.
현대차는 ‘달 탐사용 로버’ 개발 프로젝트를 계기로 NASA와 기술을 교류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민간 기업과 우주 로봇 주행 플랫폼, 전기 구동 우주차량 개발 분야에서 협력할 가능성이 높다.
◇민간 외교 성과 내는 우주청
이날 세미나엔 국내 주요 우주방산 스타트업도 대거 참석했다. 나라스페이스, 무인탐사연구소, 스페이스린텍, 인터그래비티, 티엑스스페이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등 정밀 위성 개발 및 탑재체 특화 기업이다. 세계 최초로 상업용 우주정거장을 개발 중인 액시엄스페이스,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를 제공하는 맥사인텔리전스 등 미국 기업과의 협업이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만남을 계기로 양국의 스타트업이 조인트벤처 설립을 통한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과학계에선 우주청이 이번 세미나를 기점으로 단순한 기술 관료 조직이 아니라 민간 기업의 해외 협력을 위한 ‘우주산업 외교 플랫폼’ 기능을 본격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존리 임무본부장은 “한·미 정부 간 협력이 민간 기업 협업으로 이어져 실질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며 “우주청이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외교 채널이 되겠다”고 말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 많은 부자는 '펀드·채권' 우르르…'영리치' 몰린 곳은?
- "혹시 우리동네도? "…땅꺼짐 공포에 부동산 시장 '긴장'
- 럭셔리에 고성능까지…제네시스, 오프로드 SUV 출격
- "1억 넣었으면 4000만원 벌었다"…역대급 수익률에 '우르르' [분석+]
- "전용 78㎡이 3억6000만원"…8년 전 가격에 '전국민 줍줍' 나왔다
- 304명 목숨 앗아간 세월호 참사 원인, 11년만에 밝혀졌다
- "다 바꾸겠습니다"…백종원 더본코리아, 끝없는 논란에 결국
- 매일 '맥주 한 캔' 즐겨 마셨는데…"나도 걸리면 어쩌나" [건강!톡]
- "전용 78㎡이 3억6000만원"…8년 전 가격에 '전국민 줍줍' 나왔다
- '참치캔 1위' 갑자기 상장폐지라니…동원 F&B,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