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TSMC에 반도체 매출 또 밀려…격차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가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이자 경쟁사인 대만 TSMC와의 매출 격자가 더 벌어졌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작년 4분기에 매출 30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2조9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TSMC의 작년 4분기 매출은 8684억6000만대만달러(약 38조4000억원)로 분기 기준 신기록을 세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가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이자 경쟁사인 대만 TSMC와의 매출 격자가 더 벌어졌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작년 4분기에 매출 30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2조9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매출은 주력인 메모리 매출이 모바일과 PC용 수요 약세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에 4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엔비디아 공급이 지연되면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생산을 사실상 독식하는 TSMC에 매출에서 2분기 연속 밀렸다.
TSMC의 작년 4분기 매출은 8684억6000만대만달러(약 38조4000억원)로 분기 기준 신기록을 세웠다. AI가 활용되는 고성능컴퓨팅(HPC) 매출 비중이 53%로, 기존 최대 비중을 차지했던 스마트폰(35%)을 크게 앞질렀다.
작년 두 회사의 매출은 2분기 28조원대로 비슷했지만, 3분기 약 3조원, 4분기엔 8조원가량으로 벌어졌다.
삼성전자는 2021년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반도체 매출에서 인텔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업황 둔화에 2022년 3분기를 시작으로 작년 1분기까지 TSMC에 매출 역전을 허용했다. 작년 2분기에는 근소한 차이로 삼성전자가 재역전했지만 같은 해 3분기부터 다시 밀렸다.
이런 추세는 올 1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 예상하는 삼성전자 DS부문의 1분기 매출은 25조원대 안팎인 반면, TSMC는 250억~258억달러(약 36조~37조원) 수준이다.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尹대통령 측 "헌재 재판 진행 불공정"
- 234명 성착취 `목사방` 총책 신상공개…33세 김녹완
- 미성년자 159명 성착취한 `자경단` 총책 신상 8일 공개…"33세 직장인"
- 태진아 "송대관은 내 `동반자`…갑작스런 비보, 너무 가슴아파"
- 신림동 빌라 5곳 도청한 30대男 검거…"성적인 목적 범행 추정"
- 원안위, 국내 최초 원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원전 해체 시장 열렸다
- "선생님, 보험 안 돼도 로봇수술로 해주세요"…수술 로봇 수입 1년 새 57% 증가
- 트럼프, 이란과 핵협상 한다면서 무력충돌 가능성도 제기
- 하반기 산업기상도 반도체·디스플레이 `맑음`, 철강·자동차 `흐림`
- `6조 돌파`는 막아라… 5대은행, 대출조이기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