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사 사망 책임 인천교육청 셀프조사? 외부인 조사 참여 배제해 조사위 파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천 초등학교 특수교사 사망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가 운영 방식과 조직 구성을 둘러싸고 파행을 거듭하며 조사의 첫발도 떼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청 측이 진상조사위에 '조사권'을 부여하지 않으려 하자 교원단체 측이 "조사위가 조사를 못 하냐"고 반발하면서 갈등만 커지는 양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청 "계속 만나 의견차 좁혀야 할 사안"
인천 초등학교 특수교사 사망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위원회가 운영 방식과 조직 구성을 둘러싸고 파행을 거듭하며 조사의 첫발도 떼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청 측이 진상조사위에 '조사권'을 부여하지 않으려 하자 교원단체 측이 "조사위가 조사를 못 하냐"고 반발하면서 갈등만 커지는 양상이다.
3일 인천시교육청과 교육계의 설명을 종합하면, 진상조사위는 전날 오후 5시 10분쯤 '인천 ○○초등학교 특수교사 사망 관련 진상조사위의 운영 세칙안' 안건 처리를 위해 회의를 열었으나 빈손으로 끝났다.
회의에서 유족과 교원단체 측은 조사위에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 권한을 부여하는 안을 제시했다. 반면 교육청 측은 사실관계 조사는 교육청 감사관 중심으로 운영되며, 조사위원은 외부 감사반원 추천은 할 수 있지만 조사에 직접 참여할 수 없다는 세칙 운영안을 고수하며 대립했다. 교육청 안에서 조사위는 심의·자문 기능에 그친다.
조직 구성을 두고도 파열음이 나온다. 교육청은 위원장은 부교육감으로 하며 위원은 위원장 포함 교육청 측 인사 5인과 교원단체 측 5인 등 10명으로 구성하는 안을 제시했다. 회의에서 찬성과 반대 의견이 동수면 위원장이 결정권을 쥔다고 했다. 이에 유족과 교원단체는 고인의 사망 배경과 관련해 교육청의 책무 방기 의혹이 주요 조사 사안인 만큼 교육청 측이 결정하는 구조가 돼선 안 된다고 맞서며 유족이 추천하는 위원의 추가 인선 필요성을 피력한다. 위원장도 위원 중에서 호선으로 인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회의 진행자이던 이상돈 부교육감은 조사위의 조사권 부여 반대 입장 등을 설명했으나 반발에 부딪히자 운영세칙 안건 표결 절차를 생략하고 회의 도중에 나가버렸다. 이에 학교설립과장 등 교육청 위원들도 줄지어 회의장을 나가버리며 조사위 운영안 정리가 무산됐다. 교육청 측 외부위원인 변호사는 돌연 사퇴했다. 이 부교육감 등 교육청 고위 인사들은 회의 전 유족을 불러 조사위 회의 참관도 만류하려다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인천교사노조는 "교육감이 지난달 6일 유족의 뜻을 최대한 반영해 철저히 진상규명하겠다고 약속했는데 교육청의 실제 행보는 그와 다르다"며 "특수교사의 죽음에 대해 진상을 밝힐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진상조사위 출발부터 난항을 겪고 있는데 여러 차례 만나면서 서로 입장 차를 고려해 의견 차이를 좁혀나가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숨진 채 발견된 인천 특수교사는 인천시교육청이 2개이던 특수학급을 1개 감축하면서 과밀 특수학급을 혼자 맡으며 고강도 노동의 고충을 토로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고인의 기간제 교사 배치 요청 묵살 등 교육청의 안일한 교육행정이 주요 규명 대상으로 꼽힌다. 도성훈 교육감은 지난달 8일 교원단체에 보낸 서신에서 "(교원단체와) 공동진상조사위를 구성해 투명하게 조사하겠으며, 별도로 특별감사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3014100003844)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0510220002784)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0514240004370)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1113320002691)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1313410001940)
손현성 기자 hsh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란 획책" "반국가 행위"… 비상계엄 선포한 尹의 치졸한 항변 | 한국일보
- 군인이 통제하는 달라질 일상... 시민들 "집밖에 나가기 두렵다" | 한국일보
- 윤 대통령은 왜 지금 계엄을 선포했나... "자유민주주의 전복 기도" | 한국일보
- [속보] 한동훈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 국민과 함께 막겠다" | 한국일보
- 배우 박민재, 중국서 여행 중 심정지로 사망... 향년 32세 | 한국일보
- "돈 갚을게" 목숨 구걸에도… GDP 3% 횡령한 베트남 재벌 '사형' 확정 | 한국일보
- "아이 만지지 마세요"... 80만 유튜버 '태하 엄마'의 호소 | 한국일보
- "뉴진스 6000억 물어낼 수도...법적다툼보다 여론전 유리 판단한 듯" | 한국일보
- 동덕여대 시위 비판한 '미달이' 김성은 "온갖 조롱 겪어" | 한국일보
- "키167㎝ 이하, 탈모는 결혼 힘들어" KBS 예능에 '주의' 제재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