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물총놀이 축제서 만난 태극기 그려진 '소방차'

정호갑 2025. 4. 17.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속으로 한 걸음 다가가기 6] 쫄츠남 물총놀이를 즐기며

[정호갑 기자]

4월 14일부터 16일은 캄보디아의 쫄츠남이다. 쫄츠남은 캄보디아의 설날이다. 쫄츠남을 맞이하면 캄보디아 사람들은 우리 설날과 마찬가지로 고향으로 내려가 부모 형제들을 비롯한 친척들과 인사를 나누고, 서로의 건강과 행복을 빌어준다. 쫄츠남 기간에는 사람들이 빠져나간 프놈펜 시내 도로는 한산하다 못해 쓸쓸하다.

도로만 이렇게 쓸쓸한 것은 아니다. 낯선 땅에서 찾아갈 사람도, 갈 곳도 없는 이방인의 마음 또한 허전하다. 거실에서 사람들이 빠져나간 적막한 거리를 멍하니 보고 있으면 낯선 곳에 홀로 있음을 실감한다. 오가는 사람이라도 바라보고, 차가 달리는 모습이라도 바라보면 그 쓸쓸함은 덜할 텐데.
 평소에 툭툭이와 오토바이로 가득 채운 시내 도로는 쫄츠남 기간에는 한산함을 넘어 적막하다.
ⓒ 정호갑
쫄츠남 기간에 전통 무용 공연, 다양한 민속놀이, 전통 및 현대 음악 콘서트 등등의 다양한 행사가 왓프놈 사원 주위에서 열린다고 한다. 쓸쓸함도 달래고, 낯선 문화도 경험하기 위해 왓프놈 사원을 찾아가려 했다.
 왓프놈 사원 입구
ⓒ 정호갑
왓프놈 사원은 프놈펜의 가장 중요한 불교 사원이며, '프놈펜'이라는 도시 이름의 기원이 된 사원이다. 1372년 '펜'이라는 부인이 메콩강에서 떠내려온 불상을 발견한 후 불상을 모시기 위해 이 언덕에 세운 것이 바로 왓프놈 사원이다. 프놈펜이라는 도시 이름은 펜 부인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런데 왓프놈 사원으로 가기 위해 앱으로 툭툭이를 불렀지만, 사람들이 혼잡하여 갈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뜬다. 사원 근처로 갔다.

툭툭이에서 내리자마자 낯선 이방인을 물총으로 환영한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환영에 '이건 뭐지?'하며 물총을 쏜 곳을 바라보니 꼬마가 큰 물총을 들고 나를 바라보며 웃는다. 꼬마의 천진난만한 모습에 화를 낼 수 없다.

곁에 걸어가는 사람들을 바라보니 물총을 들고 사원을 중심으로 모여들고 있었다. 프놈펜에 있는 사람은 모두 여기에 다 모아 놓는 듯하다. 그야말로 인산인해다.
 손에 손에 물총을 들고 물총 축제를 즐기려 모여드는 사람들
ⓒ 정호갑
그러고 보니 툭툭이에서 내릴 때 길거리 가판대에서 물총도 팔고, 그 옆에 하얀 분도 팔고 있었다. 지나가는 사람들 얼굴에 분을 묻히고, 웃으며 물총을 발사한다. 물총을 맞는 사람도, 분가루를 얼굴에 묻힌 사람도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모두 표정이 밝고, 몸에 흥겨움이 묻어난다.

젊은이들은 물론, 어린아이도 그리고 외국인들도 물총놀이로 신이 나 있다. 물총 축제 한마당이다. 전통 무용이나 민속놀이를 구경하러 나왔는데, 얼떨결에 물총 축제의 행렬을 따라가고 있다.

물총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 서로 발사한다. 그리고 낯선 사람들에게 환영으로 물총을 쏜다. 물총놀이를 좀 더 신나게 즐기기 위해 트럭에 물을 받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뿌리는가 하면, 거리에는 아예 호스를 틀어놓고 물을 뿌리기도 한다. 마치 우리나라 여름날 광장 분수 사이를 뛰어다니며 노는 해맑은 어린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트럭에 물을 가득 담고 물총놀이 하러 가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
ⓒ 정호갑
몇 대의 소방차도 들어와 사람들 사이로 물을 내뿜으며 축제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킨다. 그런데 소방차에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이 물총놀이에 대한민국 태극기를 보니 반갑고 흥이 더 오른다. 대한민국 정부가 프놈펜시 경찰청에 기부한 것이라고 적혀 있다.
 물총 축제의 분위기를 돋우기 위해 온 소방차에 태극기에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이 소방차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프놈펜시 경찰청에 기부한 것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 정호갑
거리 곳곳에 흥겨운 음악 공연은 물총놀이에 흥을 더한다. 노래에 맞춰 춤도 추고, 거닐면서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물총을 여기저기에 발사한다. 축제하면 빼놓을 수 없는 먹거리 노점들도 곳곳에 들어서 있어 축제 분위기를 돋운다.
 물총 축제 주변 곳곳에서 흥겨운 노래 공연을 펼치고 있다.
ⓒ 정호갑
 물총 축제 주변에 먹거리 노점은 축제의 분위기를 돋운다.
ⓒ 정호갑
물총 축제를 즐기는 사람들을 따라 사원 둘레 로터리를 한 바퀴 돈다. 여기저기서 쏘아 대는 물총을 맞고, 알 수 없는 흥겨운 노래에 귀는 먹먹하고, (아직 얼굴에 다른 사람의 손길이 닿는 것은 익숙하지 않아) 얼굴에 분칠하기 위해 다가오는 손길을 피해 보기도 하고, 오가는 사람들의 틈을 거닐다 보니 흔히 하는 말로 기가 다 빠진다. 그런데 그들은 에너지가 넘쳐난다. 여전히 그들은 물총을 쏘고 맞고, 흥에 넘쳐 몸을 흔들고, 노래 부르고 완전히 자기들의 천국이다.

물을 뿌리고, 얼굴에 분칠하는 것은 새해를 맞아 몸을 정화하고 준비하는 의미라고 한다. 이러한 놀이의 의미보다는 사람들이 아무런 거리낌 없이 마음껏 즐긴다는 것이 나에게는 더 큰 의미로 다가왔다. 이것은 그야말로 너와 내가 함께하는 즐기는 축제 한마당이다.

축제 한마당에는 지위의 높고 낮음은, 돈이 많고 적음은, 나이의 많고 적음 따위는 완전히 무시된다. 기존의 질서를 무너뜨린다. 축제에는 현존의 질서가 사라지고 너와 내가 그냥 하나가 되어 그 순간을 즐기는 것이다.

사람이 사는 세상에는 틀이 있다. 싫든 좋든, 옳든 그르든, 그 틀에 인정하고 살아간다. 하지만 틀의 얽매임이, 부당함이 임계점에 이르지 않도록 때때로 풀어 주어야 한다. 그 풀어 줌이 바로 축제가 아닐까?

얽매임을 한 번씩 풀어 주지 않으면 언젠가는 폭발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사람이 사는 세계 곳곳에서 이러한 축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이런 축제가 없다. 우리나라도 현대로 들어서기 전까지만 해도 얽매인 감정을 풀 수 있는 마을 축제가 있었다. 바로 마을 곳곳에서 일 년에 한두 차례 열리는 탈놀이가 바로 그것이다. 그동안 자신들을 눌렀던 양반의 몰지각함이나 무도함을 마음껏 들춰내며 잠시나마 억눌렸던 감정을 푸는 것이다. 현대에 탈놀이가 사라지면서 야자 타임으로 이어진 것은 아닐까?

우리나라에는 기존의 틀을 무시하고 온 국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가 없다. 그래서 어쩌면 우리는 월드컵에 그렇게 열광하는 것은 아닐까.

월드컵에서 목표가 16강인 우리나라에서, 월드컵에 그렇게 열광하는 이유를 세계는 이해하지 못한다. 월드컵이 우리에게는 하나의 축제이다. 광장에서 함께 경기를 관람하고, 결정적인 순간에도, 안타까운 순간에도, 지위를, 나이를, 빈부를 내려놓고 그냥 그 순간을 즐기기 위해 서로 껴안기도 하고, 서로의 손바닥을 마주치면서 함께 한다. 광장에서 월드컵을 함께 보는 순간, 기존의 사회적인 틀은 무너진다.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날 대한민국은 축제의 날이 되는 것이다.

최근 시국을 보면서 촌부지만 걱정거리 하나가 생겼다. 이쪽, 저쪽 갈라짐이 너무 심하다. 극과 극이 부딪히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위도, 이념도, 빈부도, 나이도 상관없이 너와 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마당이 필요하지 않을까.

쫄츠남을 맞아 온몸으로 즐기는 그들의 물총 축제가 오늘은 그저 부럽기만 하다. 이러한 축제가 그들의 문화의 자부심으로, 국민의 긍지로 이어지지 않을까?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