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진짜 어렵다…지난해 건설사 폐업신고 641건, 19년 만에 최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 건수가 641건으로 1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당분간 건설경기 불황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건산연 관계자는 "폐업 업체 수는 증가하고 등록업체 수는 위축되는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등 전형적인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당분간 건설경기 불황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는 전년보다 60건(10.3%) 늘어난 6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폐업 신고는 2021년 305건에서 2022년 362건으로 증가한 후, 2023년(581건)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새로 등록한 종합건설기업은 가장 최근 집계인 지난해 10월까지 1만9242곳으로, 전년 말(1만9516곳)보다 274곳(1.4%) 줄었다.
부문별로 건축업(1만493곳)이 전년 말보다 225곳(2.1%) 감소했다. 토건(3044)은 38곳(1.2%), 토목(5222곳)은 21곳(0.4%) 줄었다.
폐업한 기업은 늘고 새로 등록한 기업이 줄어든 것은 건설 경기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지속적인 공사비 급등, 미분양 증가, 입주 물량 감소 등으로 건설사들의 수익성은 악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건설 투자는 줄고 건설업 취업자 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건설 투자를 뜻하는 건설기성액은 지난해 11월 기준 13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줄었다.
지난해 6월 15조7000억원이었던 건설기성액은 7월 13조2000억원으로 꺾이기 시작해 11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11월 건설 공사비 지수는 130.3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상승하면서 건설 물가 부담은 커졌다.
같은 기간 건설업 취업자는 209만명으로 4.4% 감소했다. 취업자는 전월 대비로는 지난 5월부터 7개월 연속 줄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초까지 건축공사 마감 공사에 많은 인력이 투입됐는데, 지난해 5월부터 이들 공사가 완공되면서 건축 현장도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건산연 관계자는 “폐업 업체 수는 증가하고 등록업체 수는 위축되는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등 전형적인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은행이자보다 낫네, 연간 2400만원 번다”…은퇴자들 요즘 ‘이 사업’ 꽂혔다는데 - 매일경제
- “5호선 끝 변두리 아니었어?”…강남권 미니신도시로 뜨는 이 동네 - 매일경제
- 1157회 로또 1등, 5·7·12·20·25·26…총 12명, 각 22억원씩 - 매일경제
- 병원 찾은 중학생 숨져…함께 온 30대 의붓아빠 긴급체포, 학대정황 발견 - 매일경제
- “매달 70만원 모았더니 5000만원 받네”…연 최대 9.54% 금리 상품 - 매일경제
- 문재인 “멀쩡한 사람이 종북좌파 망상에 허우적…대통령은 책 많이 읽어야” - 매일경제
- “요즘 애들은 주식 이렇게 한다”…초보 투자자 ‘필수앱’된 이것 - 매일경제
- “고령자보험 보장 늘었네”…기한 못 채우면 환급금 없는데 괜찮나 - 매일경제
- “시세는 우리가 만드는 거죠”…단톡방 이용한 ‘집값 담합’ 딱걸렸다 - 매일경제
- 25년 MVP는 KIA 집안싸움? 나성범 “김도영 경쟁자 아냐, 어려도 배울 점 많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