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아파트 매매 절반 이상이 ‘9억 초과거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절반 이상이 9억 원을 넘는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가 의무화된 2006년 이후 9억 원 초과 거래가 절반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는 5만6863건이었다.
9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은 2018년까지만 해도 16.6%에 불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는 5만6863건이었다. 이 가운데 9억 원 초과 거래는 3만583건으로 전체 거래의 53.8%였다.
9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은 2018년까지만 해도 16.6%에 불과했다. 이후 집값이 오르면서 9억 원 초과 비중도 동반 상승했다. 전국적으로 집값이 폭등했던 2021년 44.3%까지 치솟았다가 2022년 고금리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38.8%로 감소했다. 2023년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46.5%로 반등했고 지난해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몰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에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진 영향이 크다. 고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인데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더욱 뛴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까지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5% 올랐다. 같은 기간 성동구는 10.7%, 용산구와 마포구는 각각 8.8%, 8.7% 올랐다. 강남3구도 7% 넘는 상승률을 보이며 서울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尹 사건 처리’ 검사장 회의 종료…“총장이 최종결정”
- 아파트 철근탐사 보고서 | 히어로콘텐츠
- ‘10장 분량’ 尹 구속영장 청구서 보니…‘방탄차량 도주설’부터 ‘극우 유튜버 자극 가능성
- 이광우 경호본부장 “구속영장, 끼워 맞추기식 법 적용…반려해야”
- ‘최상목 권한대행’ 한 달, 엇갈리는 평가…안정적 국정운영 vs 리더십 공백 한계
- 이재명 “2월 중 모수개혁 입법 완료 후 구조개혁 논의”
- 오세훈, ‘이재명 성장론’에 “갑작스런 변화는 독…계엄 선포할 수 있는 성격”
- 연휴 주말에도 집회로 두 동강 난 도심…“尹 석방” vs “파면”
- 개혁신당, 당원 투표로 ‘허은아 당대표직 상실’ 의결
- 27일부터 전국 폭설, 전북 최대 30cm·수도권 25cm…기온도 내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