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손잡는 한화에어로…우주·항공 R&D 강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서울대학교와 함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설립하기 위한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회사는 2023년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협약을 맺은 서울대를 포함하면 건국대, 부산대, 연세대, 인하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항공대 등 모두 10곳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가 설치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에선 총 50건의 미래 연구 과제를 수행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서울대학교와 함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설립하기 위한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 회사는 2023년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협약을 맺은 서울대를 포함하면 건국대, 부산대, 연세대, 인하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항공대 등 모두 10곳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가 설치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에선 총 50건의 미래 연구 과제를 수행된다.
서울대는 항공엔진 부품 소재와 우주 발사체 기술 개발을, 인하대는 인공지능(AI) 기반 표적 탐지 기술 연구를 각각 맡는다. KAIST는 자율주행 기술과 우주 발사체 설계·제어를 개발하고, 부산대는 무인 중전투 차량의 열 관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현재 250명 수준인 항공엔진 연구개발(R&D) 인력을 2028년까지 500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미래를 위해 인재와 기술 확보는 필수적"이라며 "지속적인 투자와 책임감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방산∙항공∙우주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최지훈 (jhchoi@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