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마늘 vs 익힌 마늘, 노화 방지에 특효인 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늘은 면역력 강화에 좋은 대표적인 식품 중 하나다.
실제로 마늘에는 알리신, 셀레늄 등 항암‧항염증 성분이 풍부하다.
반면, 알리신은 익힌 마늘보다 생마늘에 더 많이 들어있다.
◇위 약하거나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주의해야 다만 생마늘에 들어 있는 알리신 성분은 위벽을 자극해 헐게 할 수 있어 위가 약한 사람은 섭취량을 줄이고 공복에 생으로 먹지 않는 게 좋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익힌 마늘, 노화 방지 물질 함량 높아
마늘은 조리법에 따라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가 달라진다. 열을 가해 익히면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물질 활성도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한다. 또 마늘을 익혔을 때 발암 억제 성분인 ‘S-알리시스테인’도 많이 생성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연구에 따르면 마늘을 끓는 물에 60분간 삶았을 때 생마늘보다 S-알리시스테인이 3배 더 많아졌다. 열을 가하면 과당 함량도 생마늘에 비해 높아져 맛이 달달해진다.
반면, 알리신은 익힌 마늘보다 생마늘에 더 많이 들어있다. 알리신은 알싸한 향을 내는 성분으로, 혈액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동시에 몸속에서 나쁜 균들을 살균하고 해독한다. 혈액이 뭉치거나 딱딱하게 굳는 것을 막는 항혈전 작용도 한다.
◇위 약하거나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주의해야
다만 생마늘에 들어 있는 알리신 성분은 위벽을 자극해 헐게 할 수 있어 위가 약한 사람은 섭취량을 줄이고 공복에 생으로 먹지 않는 게 좋다. 또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마늘을 과다 섭취하면 장에 무리가 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수술을 앞둔 사람 역시 마늘 섭취를 피해야 한다. 마늘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해 과다 출혈을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6년 의학정보 검색 엔진 ‘펍메드(Pubmed)’에 매일 마늘 12g(약 마늘 4쪽)을 먹은 환자의 척추를 수술하던 중 과다 출혈이 발생한 사례가 소개된 바 있다.
마늘의 보관 방법에도 주의해야 한다. 마늘을 냉장 보관했다간 곰팡이 독소가 생길 수 있다. 냉장고에 넣어둔 마늘은 냉장고 속 습기를 흡수해 쉽게 물컹해지고, 싹이 나거나 곰팡이가 증식하기도 쉬워진다. 까지 않은 마늘은 냉장고 밖에 꺼내두는 게 좋다. 다만 이미 깐 마늘이나 다진 마늘은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미랑] 마늘 두세 쪽, 끓는 물에 한 시간 삶아 먹으면…
- 릴리 ‘버제니오’, 조기 유방암 급여 또 고배
-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 한미약품, 2분기 영업이익 604억원…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
- 인형에서 AI모델로… ‘감기 조심하세요~’ 소녀 변천사 [우리 약史]
- 종이 처방전 1년에 5억장 발급…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 필요”
- 아스트라제네카, 임상 3상서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게푸룰리맙’ 효과 입증
- 일라이 릴리, ‘소분자 약물’ 개발에 1兆 투자
- 로슈, 비만약 포함 5개 약물 개발 중단
- 여름철 별미 ‘콩국수’, 시니어 건강에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