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전세 5억, 매매 10억..서울 아파트값 천장 뚫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 여당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낙관적인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처음으로 5억원을 돌파했다.
KB국민은행이 26일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011만 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2년 전(4억5083만 원)과 비교해보면 최근 1년 사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여당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낙관적인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처음으로 5억원을 돌파했다. 천정부지로 치솟던 매맷값은 평균 10억원에 육박했다.
KB국민은행이 26일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011만 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4억6541만 원이던 1년 전에 비해 4470만 원(9.6%)이 오른 것이다. 2년 전(4억5083만 원)과 비교해보면 최근 1년 사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역구별로는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1년 사이 10.2%(5503만 원) 올라 8.9%(3357만 원) 상승한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보다 높게 형성됐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8503만 원으로 10억원에 가까워졌다. 이 또한 사상 최고 가격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1억5330만원(18.4%) 올랐고, 2년 전보다는 2억3525만원(31.4%) 치솟았다. 매맷값의 상승세가 전셋값보다 훨씬 가파른 것이다.
강남 지역(11개구) 평균 아파트값이 1년 사이 16.9%(1억7084만원) 상승했고, 강북 지역(14개구)은 21.5%(1억3493만원) 뛰었다.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더 오른 전셋값과 달리 매매가격은 강북 지역이 더 가파른 오름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달 서울 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도 140.2로 통계가 공개된 2016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0∼200 범위에서 표현되는 이 지수는 100을 넘기면 ‘상승 전망이 강함’을 뜻한다. 향후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 가파르게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실제 이는 계약기간 2+2년에 인상률 5% 제한을 골자로 하는 임대차 3법이 시행된 가운데 신규 계약을 중심으로 두드러지는 흐름이다.
반면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18.7로 지난달(120.3)과 비교해 하락했다. 100보다 높아 매매 가격이 내려간다는 뜻은 아니지만, 우상향의 흐름은 다소 더뎌질 것으로 보인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로수 두 동강, 사람은 휘청..바비 '초속 45m' 괴물 됐다
- 결혼도 안하고, 아기도 안 낳는다..혼인·출생아 역대 최저
- 이 와중에 한타바이러스까지 덮쳤다..백신 맞은 병사 사망
- "성관계하고 싶어져..재밌거든" 여가부 초등 성교육책 논란
- '공매도 금지' 6개월 연장으로 가닥..이르면 이번주 발표
- "우린 극우와 다르다" 통합당 매정한 '손절' 시작됐다
- 靑 “거리두기 3단계, 쉽게 선택할 일 아냐” 신중 발언
- "다리 꼬지마" 지하철 폭행남, 경찰 늑장에 CCTV 삭제됐다
- 사망선고 받은 美20대 여성, 장례식장서 살아난 사연
- 손등 키스 했다가..인도네시아서 줄줄이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