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직격탄 中·베트남 진출 기업…부산으로 유턴 돕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 환경 변화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산시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 등이 관련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턴 기업 유치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경자청은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중국·베트남 등 해외 경영 환경이 악화함에 따라 이들 기업의 국내 복귀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2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업체들, 市에 저리 금융 호소도
- 韓 “24일 밤 9시 2+2 협의 시작”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 환경 변화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산시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 등이 관련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턴 기업 유치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경자청은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중국·베트남 등 해외 경영 환경이 악화함에 따라 이들 기업의 국내 복귀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21일 밝혔다.
경자청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 문제로 국내 복귀 수요가 많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을 대상으로 다음 달 한 달간 집중 홍보를 전개할 예정이다. 급변하는 국제통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복귀기업 지원제도를 적극 안내해 유치 가능성을 높이자는 취지에서다. 복귀기업에 제공되는 주요 유인책으로 ▷투자 및 이전 보조금 ▷법인세 및 관세 감면 ▷고용창출 장려금 ▷시설투자금 등 금융 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등을 마련했다. 박성호 경자청장은 “불확실한 대외 경제 여건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역발상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앞으로도 기업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규제 해소와 지원체계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각종 규제 완화 및 제도 개선에도 집중한다. 최근 창원 웅동지구의 고도제한을 40m에서 60m로 완화하고, 재투자 기업에 대한 항만배후단지 임대료 감면 기간도 연장했다.
앞서 부산시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관련 기업의 목소리를 듣고자 첨단산업국장 주재로 지역 신발기업과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창신아이엔씨(INC) ㈜화승인더스트리 ㈜파크랜드 ㈜학산 등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들 기업은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 공장을 설립,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미국 본사에 신발 완제품을 납품하는 업체들로 관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업체들은 이 자리에서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유예됐으나 불확실성이 높아 대응책을 마련하기 어렵다”며 저금리 금융 지원 등을 요구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1일 “24일 밤 9시, 미국시간으로 오전 8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한미 2+2 통상 협의’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