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편안한 사람들 속 기분좋음'을 뜻하는 단어가 있어요

김용찬 2025. 4. 18. 1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그는 다만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지만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그러면서 저자는 자신이 선택한 단어들을 열거하면서 '저마다 다른 개성을 지닌 각 나라의 초상화'를 그려보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독일의 경우 아무도 지켜보는 사람 없이 집에 혼자 남아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하는 '슈트름프라이'를 비롯하여 6개 단어를 제시하고, 역시 그에 걸맞은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평] <당신의 마음에 이름을 붙인다면> , 마리야 이바시키나

[김용찬 기자]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지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의 시 <꽃> 중에서)

관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내용으로 잘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일부분이다. 실상 이 작품은 꽃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단순히 꽃이 아닌 존재와 존재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깊은 깨달음을 던져주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각국에서 통용되는 표현들과 그에 관한 간략한 설명, 그리고 그 단어들을 뒷받침하는 그림들만으로 구성된 이 책 <당신의 마음에 이름을 붙인다면>(2022년 7월 출간, 책읽는곰)을 읽으면서 문득 김춘수의 이 시를 떠올렸다.
 책표지
ⓒ 책읽는곰
아마도 제목에서 보이는 '이름'이라는 단어와 그로 인해 저자에게 각인되었던 내용들을 나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저자는 이러한 단어를 떠올렸지만, 독자들은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미로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세상 모든 언어에는 복잡한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는 단어가 있다'는 사실을 적시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자신이 선택한 단어들을 열거하면서 '저마다 다른 개성을 지닌 각 나라의 초상화'를 그려보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예컨대 가장 먼저 등장하는 '영국'의 경우, 일을 다 끝마쳐서 더는 그 일을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기쁨이라는 뜻풀이와 '스트라이크히도니아'라는 단어를 나란히 제시되고 있다.
'
이와 함께 공동체에 속해 있다는 기분으로 가장 편안한 사람들 속에서만 느낄 수 있다는 '크랙',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곳에 대한 그리움을 뜻하는 '히라이스', 그리고 몸을 웅크린 채 누워 있는 것으로 안락하고 따뜻한 느낌을 준다는 '쿠리'라는 단어들을 영국을 대표하는 단어로 제시한다.

물론 저자가 선택한 단어들에 걸맞은 그림들이 파스텔 톤으로 배경을 이루고 있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라고 하겠다.

이처럼 저자는 그 대상을 독일과 그리스, 덴마크와 이집트 등으로 확장시켜 자신이 선택한 세계 각국의 단어들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아무도 지켜보는 사람 없이 집에 혼자 남아 좋아하는 것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하는 '슈트름프라이'를 비롯하여 6개 단어를 제시하고, 역시 그에 걸맞은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인도와 아이슬란드, 스페인과 이탈리아, 그리고 중국과 네덜란드 등에 관한 저자의 단어 선택은 이어지고 있다. 이밖에 노르웨이와 포르투갈, 핀란드와 프랑스, 스웨덴과 일본 등 저자가 선택한 국가는 모두 17개국에 달한다. 아마도 저자에게는 한국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 나라인 듯, 이 책에서는 그러나 '한국의 초상화'를 대신할 수 있는 단어가 보이지 않는다.

실제 저자는 '단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나라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 위해 다양한 원어민들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그렇기에 저자가 선택한 단어들은 도움을 주었던 이들의 생각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또한 저자가 생각하는 여러 나라의 이미지들이 전제되었을 것이고, 때로는 그것이 선입견으로 작용했을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김춘수의 시 '꽃'의 구절처럼 이 책을 집필할 당시에는 이러한 단어들을 떠올렸겠지만, 시간이 흐른 다음 해당 국가에 대한 이해가 좀 더 깊어진다면 먼저의 단어들이 다른 표현으로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독자들은 저자의 의도를 간파하고, 그저 자기 자신의 단어와 표현을 통해서 떠올리고자 하는 대상과 연결시켜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 상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보다 자세하게 떠올려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이 지닌 의미라고 평가하고 싶다.

덧붙이는 글 | 개인의 독서 기록 공간인 포털사이트 다음의 "책과 더불어(與衆齋)“ (https://cafe.daum.net/Allwithbooks)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