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민"으로 시작해 "시민"으로 돌아간 문형배의 세가지 당부
[박소희, 이정민 기자]
|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부부와 이미선 헌법재판관 부부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퇴임식 뒤 기념촬영을 기다리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 이정민 |
문 재판관은 이날 서울시 종로구 헌재 대강당에서 "퇴임사를 써가지고 비서실장한테 올려달라고 했는데 고쳐버렸다. 제가 고친 대로 외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멋쩍게 웃으며 퇴임사를 시작했다. 그간 대통령 탄핵심판 등 사건을 선고할 때에 비하면 한껏 부드러워진 표정이었다.
그는 "이렇게 모였으니 한 말씀만 드리겠다"며 "헌재가 헌법이 부여한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사실성과 타당성을 갖춘 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가 보충되어야 한다"는 당부를 남겼다.
첫 번째 과제는 재판관 구성 다양화였다. 퇴임하는 문형배 재판관부터 최근 취임한 마은혁 재판관까지 현재 재판관 9인은 모두 판사 출신이다. 문 재판관은 소위 '엘리트 법관'들이 서울 중심으로 근무해온 것과 달리 헌재에 오기 전까지 27년 간 부산·경남에서만 근무했다. 그는 "집단사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또는 다양한 관점에서 쟁점을 검토하기 위해서 재판관 구성의 다양화는 필요하다"며 "헌법실무 경험이 많은 헌법연구관이나 교수들에게 헌법재판관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야 된다"고 제안했다.
두 번째는 "더 깊은 대화"였다. 그는 "재판관과 재판관 사이에서, 재판부와 연구부 사이에서, 현재의 재판관과 과거의 재판관 사이에서 더 깊은 대화가 필요하다"며 "대화는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소통의 과정과 경청 후 자신의 의견을 수정하는 성찰의 과정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퇴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
ⓒ 이정민 |
"흔히 대통령중심제 국가에서는 어… 대통령과 국회 사이에 갈등이 고조되고 대화와 타협에 의한 정치적 해결이… 무산됨으로써, 이 부분이 비서실장이 고친 겁니다."
순간 객석에서 웃음이 터져나왔다. 이어진 문 재판관 발언에 청중들은 다시 집중했다.
"(대통령과 국회 사이에) 교착상태가 생길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법의 설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권한쟁의와 헌법소원과 같은 절차에서 사실성과 타당성을 갖춘 결정을 하고 헌법기관이 이를 존중하면 교착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견제와 균형을 바탕으로 한 헌법의 길은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존중으로 더욱 굳건해질 것입니다."
<법률신문>에 따르면, 문 재판관은 전날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특강에서 "최근에 블로그에 글을 거의 안 올리고 있다. 글을 쓰면 죽일 듯이 달려들기 때문"이라며 "아무 말을 안 해도 살해 협박과 문자와 전화 폭탄이 왔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마음으로 지냈다"고 지난 소회를 밝혔다.
|
▲ 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퇴임사를 하고 있다. |
ⓒ 이정민 |
이 재판관은 특히 "국가기관이 헌법을 준수하지 않고 무시할 때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질서가 흔들릴 수 있다"며 "헌법의 규범력이 훼손되지 않도록 우리 헌재가 그동안 해왔던 것처럼 국민의 기본권 보호와 헌법질서의 수호·유지에 전력을 다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퇴임식 후 청사 밖에서 동료 재판관, 헌법연구관들과 기념촬영을 했다. 촬영을 마친 문형배 재판관은 황급히 헌재를 빠져나갔다. 끝까지 관계자들에게 인사하며 여유있게 떠나간 이미선 재판관과 대조적이었다.
다만 소장 대행으로 대통령 파면 결정부터 마은혁 재판관 임명, 한덕수 국무총리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등 주요 국면마다 헌재를 이끌어온 소임을 내려놓고 홀가분해진 만큼, 그의 마지막 모습은 웃는 얼굴이었다. 문 재판관은 이후 기자단 공지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서 충실히 보도해준 언론과 기자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문 재판관은 자신의 취임사에 썼던 "대한국민"이라는 단어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서에도 남겼다. 그가 퇴임사에 쓴 세 가지 당부는 이 사회 어느 곳에 어떻게 남을까.
[6년 전 두 재판관의 취임사] https://omn.kr/1ir3n
|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퇴임식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 이정민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단 선동 돈벌이 '극우 유튜브'... 민주적으로 막기
- 무서운 땅꺼짐, 말라버린 왕궁의 우물이 전하는 경고
- '산불 지원금'에 양심 팔았다? "대학생 장려금 효과"
- [이충재 칼럼] 윤석열·한덕수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인물을 찾습니다
- [갤럽] 한덕수7%, 홍준표·김문수와 동률...차출론 유지될까
- 교육부의 무모한 시도... 고교학점제, 이게 맞습니까
-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 "구체적 로드맵 나와야"
- 홍준표 "윤석열 탈당 요구, 시체 난도질·소금 뿌리는 격"
- 박정훈 대령 측 "격노 실체, 윤석열을 증인으로 신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