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 캥거루족의 중년화

김회경 2025. 4. 17.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 방송인 윤성빈은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에서 한 캥거루족 관련 발언으로 사과문을 올렸다.

전 세계적 경기 불황에 취업이 힘들어지고 교육비 부담, 높은 주거비 등으로 사회에 진출한 경우에도 이전 세대만큼 경제적 자립이 쉽지 않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1일 서울 양천구 해누리타운에서 열린 '2025 양천구 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구인광고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 방송인 윤성빈은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에서 한 캥거루족 관련 발언으로 사과문을 올렸다. "요즘 30대에도 캥거루족이 많다"는 스태프 말에 "왜 독립을 안 하냐", "막 써서냐, 일하는데 왜 (돈이) 없냐"고 되물어 비하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최저시급으로 월 230만 원을 버는데 월세와 관리비 100만 원, 식비와 교통비 제외하면 생활이 어렵다는 스태프 설명을 듣고서야 이해한다는 반응을 보인 탓이다.

□ 서울연구원의 '서울시민 생애 과정 변화와 빈곤 위험' 보고서에 따르면, 35세 시점에 부모와 함께 사는 비율이 1971~1975년생 22.8%, 1976~1980년생 29.2%, 1981~1986년생 41.1%로 조사됐다. 어림잡아 서울 거주 35세 청년 10명 중 4명 이상이 부모와 함께 사는 캥거루족이란 얘기다. 현실이 이러한데, 자립심 부족 등 개인 탓으로 여기는 듯한 윤씨에게 대중이 격한 반응을 보인 것이다.

□ 캥거루족 현상 배경에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요인이 있다. 전 세계적 경기 불황에 취업이 힘들어지고 교육비 부담, 높은 주거비 등으로 사회에 진출한 경우에도 이전 세대만큼 경제적 자립이 쉽지 않다. 미국의 '부메랑 키즈', 영국의 '키퍼즈(부모의 연금을 좀먹는 사람)', 일본의 '패러사이트 싱글(부모에게 기생하는 독신)' 등 부정적 시선이 담긴 표현들에 비하면 캥거루족은 그나마 귀여운 축에 속한다.

□ 캥거루족 연령대가 사회 초년생에 그치지 않고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야말로 문제다. 자녀 세대의 자립 지연 등에 따른 부모의 경제적 부담은 노후 빈곤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일본에선 1990년대 취직 빙하기를 겪은 세대가 사회문제를 낳고 있다. 이들의 부모인 7080세대가 사망할 경우 이들의 연금에 기대어 살던 4050세대 자녀의 생계가 끊기게 되는데, 이를 4070 또는 5080 문제라 부른다. 지난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도 남 일은 아니다. 청년 취업 및 주거 지원과 동시에 정년 연장 등 두 세대를 연계한 사회적 해법 마련이 절실하다.

김회경 논설위원 herme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