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서만 하루 1만 장... 보조배터리 합선 방지 비닐봉투 실효성 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지난 1월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를 계기로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기준을 강화하면서 내놓은 배터리 단락(합선) 방지를 위한 비닐봉투 보관 조치가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달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만 하루 1만 장가량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용 투명 비닐봉투가 외부 합선은 예방 가능하나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내부 합선'은 막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전율 30% 이하 규정 등 필요
정부가 지난 1월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를 계기로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기준을 강화하면서 내놓은 배터리 단락(합선) 방지를 위한 비닐봉투 보관 조치가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달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만 하루 1만 장가량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용 투명 비닐봉투가 외부 합선은 예방 가능하나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내부 합선'은 막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17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기준이 강화되면서 전국 공항에는 승객들이 기내에 반입하는 배터리 보관용 지퍼백이 비치됐다. 인천국제공항은 장당 17원짜리 지퍼백이 하루 1만 장, 김포공항은 25원짜리가 일주일에 5,000장가량 사용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공항공사 측은 "성수기에는 더 많은 지퍼백이 쓰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비닐봉투 보관 조치가 보조 배터리 단자와 금속의 접촉을 막아 합선을 방지한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 생각은 달랐다. 비닐봉투는 머리핀, 클립 등이 배터리 단자에 들어가 발생하는 외부 합선을 막기 위해 10여 년 전 권고된 조치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내부 합선에는 별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내부 합선 발생 시 비닐이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실제 지난달 공개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정밀 분석 결과 1월 28일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는 배터리 내부 합선으로 시작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비닐 쓰레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는 배터리 내 분리막 손상으로 절연이 파괴돼 발생하는 내부 합선이 주요 원인인데, 국토부는 외부 합선을 막는 엉뚱한 답을 내놓은 것"이라며 "USB-C 등 요즘 배터리 단자는 외부 합선을 차단하는 구조로 돼 있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배터리가 포함된 휴대폰, 노트북 등 항공화물 운송 시 적용돼 이미 실효성이 검증된 '배터리 충전율 30% 이하' 규정을 적용하거나 배터리 품질 기준을 높이는 것이 비닐봉투를 나눠주는 것보다 훨씬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환직 기자 slamhj@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직장 다니다 무직 된 청년, 애초 쉬었음 청년의 5배... '재취업 번아웃' | 한국일보
- 서유리 "이혼 후 빚 20억 생겨… 현재 13억 갚아" | 한국일보
- [영상] 싸우기 싫은 소, 코뚜레로 끌어내고 채찍질···피와 침 흘릴 때까지 '학대' | 한국일보
- 이재명 대통령의 '개그 본능' | 한국일보
- [단독] 우상호, '비명횡사' 초일회와 저녁회동... 계파 통합 신호탄 되나 | 한국일보
- 최태원 회장 미국인 사위, 이란 핵시설 공습에 참여했다 | 한국일보
- 24시간 일하고 1억 넘게 임금 떼이고···판치는 '가짜 5인 미만 사업장' 무법지대 | 한국일보
- 바닥에 넘어진 임신부 보고도 불붙인 '5호선 방화범'…"160명 살인미수" 기소 | 한국일보
- [단독] '부산 돌려차기' 2차 가해범 '적반하장 맞고소' 무혐의… 무고 고소당해 | 한국일보
- 신개념 민폐?… 대형 버스 주차 후 산책·화장실 이용만 하고 떠난 단체 관광객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