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가려워요” 대학 기숙사에서 ‘옴’ 발생해 학생 귀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삼육대 기숙사에서 전염성 피부병인 '옴'이 발생했다.
16일 삼육대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남자 기숙사인 시온관 5층에 거주하는 학생 두 명이 옴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 측은 해당 학생 두 명을 즉시 귀가시키고 다음 날 건물 전체 소독을 완료했으며 기숙사생들에게 옴 발생 사실을 공지했다.
옴진드기는 사람 피부 각질층에 굴을 만드는데 이때 진드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해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염성 강한 옴…붉은 발진·극심한 가려움 동반
서울 삼육대 기숙사에서 전염성 피부병인 ‘옴’이 발생했다. 옴은 진드기 배설물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일어나는 피부 질환으로, 붉은 발진과 극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16일 삼육대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남자 기숙사인 시온관 5층에 거주하는 학생 두 명이 옴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 측은 해당 학생 두 명을 즉시 귀가시키고 다음 날 건물 전체 소독을 완료했으며 기숙사생들에게 옴 발생 사실을 공지했다. 또 시온관 5층 거주 학생들에게 아래층 방문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기숙사생들에게는 도서관 대신 기숙사 안에서 공부하도록 안내했다.
옴진드기는 사람 피부 각질층에 굴을 만드는데 이때 진드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해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대개 4∼6주 정도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며, 옴에 걸린 사람과 접촉하면 전염될 수 있다.
삼육대에서는 지난 15일에도 여자 기숙사인 에덴관에 거주하는 학생 한 명이 가려움을 호소한 바 있다. 진료 결과 옴에 걸린 것은 아니었지만 학교 측은 이날 에덴관 건물도 소독 조치를 완료했다.
삼육대 관계자는 “현재까지 추가 감염자는 나오지 않았으나 잠복기를 고려해 예의 주시 중”이라고 설명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경북 산불로 탄 산림 ‘9만ha’… 산림청 발표의 두 배
- ‘韓 재판관 지명’ 헌재가 직접 제동… 대선 차출론에도 영향?
- [속보] “협상 큰 진전” 트럼프, 일본 관세협상단 만나
- ‘영향력 100인’ 美타임 “이재명, 무역전쟁 겁 안낼 것”
- 2050년 인도는 ‘생존 불가능 온도’…펄펄 끓는 지구
- 英대법 “법적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 넷플릭스 한국콘텐츠 인기, 美 이어 2위… 시청시간 英·日 제쳐
- 국힘 경선열차 출발했는데… 의원들은 눈치작전
-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민 주자들 서울시청 ‘문전성시’
- “꽃샘추위 물러나니 초여름 날씨 찾아 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