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아다니는 산불인데... 산림청 임도 개설·숲가꾸기 효과 없어"
[윤성효 기자]
|
▲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하동참여자치연대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정환 지리산사람들 운영위원. |
ⓒ 윤성효 |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하동참여자치연대가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임도 확대와 숲가꾸기 사업은 산불 방지의 대안이 아니다. 산림청은 산림관리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라"라고 했다.
지난 3월말 열흘동안 발생했던 산청·하동 산불과 관련해, 산림청은 임도 개설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숲 가꾸기를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환경단체들이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기자회견에서 민영권 산청난개발대책위 위원은 "산불에 대해 책임을 져야할 어떤 사람도 나타나지 않아 안타깝다"라며 "산불이 기후변화로 어쩔 수 없이 일어났다는 말은 위험하다. 산불은 인재다. 대부분 발화 지점은 산중턱이고, 임도가 있으며, 주변에는 갖가지 개발이 되어 있다"라고 했다.
그는 "산중턱에 임도를 내고 개발허가를 누가 했는지에 대해 분명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라며 "산불은 날아다닌다. 임도는 산불을 저지하는 데 아무런 효과가 없다. 정부는 피해 재난 복구 예산으로 쓸데없니 인공조림, 사방댐, 임도, 숲가꾸기를 할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하동참여자치연대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 윤성효 |
지리산사람들 등 단체는 회견문을 통해 "올해 2025년 산림청은 2024년 대비 120억 원이 증가한 2조 6246억 원 예산을 편성하고 주요 내용으로 '일상화·대형화되는 산림재난 대응을 위한 투자'를 한다며 과학적인 산림재난 대응체계로 국민안전 확보를 외쳤다"라며 "많은 예산 투자에도 불구하고 국민과 산림은 전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라고 했다.
지난 4일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일대와 산청 지리산국립공원 내 산불피해 지역을 조사했다고 한 이들은 "숲가꾸기를 통해 조림이 이루어진 곳과 숲가꾸기 사업으로부터 산림이 보호되는 국립공원 내 산불 피해 양상은 달랐다"라고 했다.
이들은 "소나무 중심으로 숲가꾸기를 한 곳은 '수관화'가 발생, 대형 산불로 이어진다. 수관화로 상승한 불똥이 강한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현상인 비화는, 다른 곳에 옮겨 붙어 새로운 산불을 만든다. 도깨비불처럼 날아가는 불똥은 바람을 따라 최대 2km도 날아간다. 보도에 따르면 2009년 호주에서 발생한 산불은 불똥이 최대 35km까지 날아갔다고 한다"라고 했다.
이어 "숲가꾸기를 통해 지표층이 정리된 곳은 바람의 통로가 되어 산불 확산의 원인이 된다. 이때는 소방헬기는 물론 인력으로 진화가 어렵고 인근 주민의 대규모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라며 "소나무 조림지는 산불 규모, 확산면에서 활엽수림보다 크고 넓다. 그러나 활엽수림대는 산불 확산의 방어선 역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수분 함량이 높아 주로 지표의 낙엽만을 태우기 때문에 확산 속도가 늦다"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는 국립공원 산불피해 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우리나라는 온대활엽수림의 식생 상황으로 바뀌고 있으니 숲의 생태에 맞춰 그대로 전이할 수 있게 두어야 한다. 인위적인 조림사업은 숲을 해칠 뿐이다"라고 했다.
환경 등 단체들은 "산불 발생 시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마을로 불이 번지지 못하게 주거지를 지키기 위한 사전작업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라며 "무조건 산불만을 끄기 위한 진화작업은 문제가 있다. 산림청 산불진화 관련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라고 했다.
"임도 확대와 숲가꾸기 사업은 산불 방지의 대안이 아니다"라고 한 이들은 산림청에 대해 "산림관리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라", "자연복원을 통한 산림복원정책을 우선하라", "산불 피해 현장에 인위적인 행위를 가하지 말고, 자연적인 산림이 조성될 수 있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산불 발생시 진화 인력과 장비를 민가에 집중하여 주민들의 희생과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라고 했다.
지리산사람들 등 단체는 "자연의 생명력과 생태가치를 종종 무시한다. 산청 주불이 잡히고 일주일도 지나지 않은 산불 피해현장 잿더미를 뚫고 초록 새순이 올라오고 있었다. 숲은 기후위기시대 탄소흡수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림보호·복원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다"라고 했다.
|
▲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하동참여자치연대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 윤성효 |
|
▲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하동참여자치연대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 윤성효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탄핵의 순간까지, 곳곳에서 목소리 낸 김장하 장학생들
- '카뱅 심규협'이 꼽은 탄핵광장의 결정적 순간..."분노도 즐겁게, 승리 확신"
- 이재명, 대선 출사표 "위대한 대한국민의 최고의 도구 되겠다"
- 국민의힘과 내란세력이 여전히 기고만장한 이유
- 어머니의 '예정된 실명' 그래서 시작한 일
- 한덕수, 헌법기관을 해킹하다
- 한덕수 대행의 오판...트럼프에게 말려들고 있다
- 나쁜 것만 배운 '식자재마트'..."콩나물 값 30%까지 후려쳐"
- [오마이포토2025] 전태일 열사 옆 김문수
- '내란 주요 피고인' 박안수·곽종근·여인형·이진우, 같은 법정에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