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 정자라더니" 흑인 낳았다…친부모에 아이 뺏긴 미국 여성

이은 기자 2025. 2. 20. 21: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른 사람의 배아를 잘못 이식한 난임 병원의 실수로 엉뚱한 아이를 낳은 한 여성이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9일(현지시간) NBC에 따르면 미국 조지아주에 사는 웨딩 사진작가 크리스테나 머레이(38)는 "자신의 의지에 반해 다른 부부의 대리모가 됐다"며 자신에게 잘못된 배아를 이식한 난임 병원을 고소했다.

머레이는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에서 체외수정(IVF)을 진행하는 한 난임 병원을 통해 정자 기증을 받아 아이를 갖기로 결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조지아 주에 사는 웨딩 사진작가 크리스테나 머레이가 자신에게 잘못된 배아를 이식한 난임병원을 고소했다고 19일(현지시간) 미국 NBC가 전했다. /사진=미국 NBC 보도 화면 캡처

다른 사람의 배아를 잘못 이식한 난임 병원의 실수로 엉뚱한 아이를 낳은 한 여성이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9일(현지시간) NBC에 따르면 미국 조지아주에 사는 웨딩 사진작가 크리스테나 머레이(38)는 "자신의 의지에 반해 다른 부부의 대리모가 됐다"며 자신에게 잘못된 배아를 이식한 난임 병원을 고소했다.

머레이는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에서 체외수정(IVF)을 진행하는 한 난임 병원을 통해 정자 기증을 받아 아이를 갖기로 결심했다.

머레이는 자신과 비슷한 금발에 푸른 눈인 백인 남성의 정자를 원했고, 2023년 배아를 이식받았다. 그러나 그해 12월 출산한 머레이는 피부색이 어두운 아프리카계 아이를 낳았다.

머레이는 적어도 자기 난자에 다른 남성의 정자가 이식된 것이길 바랐다. 그러나 DNA 검사 결과 머레이와 아기는 생물학적으로 전혀 관련이 없었다. 생판 모르는 남의 아이를 출산한 것이다.

머레이는 "아이 출산은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 됐어야 하는데, 가장 무서운 순간이 됐다. 처음 아기를 볼 때 느꼈던 사랑과 기쁨이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냐"고 토로했다.

머레이는 지난해 2월 변호사를 통해 병원 측에 이 사실을 알렸고, 병원은 아이 친부모를 확인해 연락했다. 이들은 DNA 검사를 통해 아이가 자신의 아이임을 확인한 후 양육권을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조지아 주에 사는 웨딩 사진작가 크리스테나 머레이가 자신에게 잘못된 배아를 이식한 난임병원을 고소했다고 19일(현지시간) 미국 NBC가 전했다. /사진=미국 NBC 보도 화면 캡처

이에 결국 머레이는 안타깝게도 자발적으로 아이를 친부모에게 넘겨야 했다.

머레이는 NBC와의 인터뷰에서 "날 사랑하고, 나와 애착이 있는 내 아이와 함께 엄마로서 (법정에) 들어갔지만, 텅 빈 유아차를 끌고 나와야 했다. 아이의 친부모는 내 아들과 함께 떠났다"고 당시를 기억했다. 그러면서 "나는 내 아들을 낳고 키웠고 사랑했다. 그 아이가 내 아들, 내 배아인 것과 다를 것 없다"고 호소했다.

머레이는 변호사를 통해 자신의 배아가 다른 부부에게 이식됐는지, 여전히 병원에 보관 중인지 문의했으나 병원 측의 답변을 받지 못했다.

머레이의 변호사 아담 울프는 "이건 난임 병원의 큰 잘못이다. 잘못된 배아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일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머레이는 난임병원의 배아 책임자 제프리 그레이 박사를 피고로 지명했다. 이에 병원 측은 그레이 박사를 대신해 "배아 이식을 혼동해 벌어진 전례 없는 실수로 발생한 고통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런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추가 안전 조치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난임 병원의 실수로 엉뚱한 사람의 배아로 출산한 사례는 드물지만, 전혀 없는 일은 아니다.

2015년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동성 연인과 살던 백인 여성 제니퍼 클램블렛은 미국 일리노이주의 정자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패소한 바 있다. 클램블렛은 2011년 백인 기증자의 정자를 주문했으나 정자은행 측 실수로 흑인 정자를 받아 혼혈 딸을 출산했다.

또한 2019년 미국 뉴욕의 한 커플은 다른 두 커플의 배아를 이식받아 쌍둥이를 출산했다며 병원을 고소하기도 했다.

이은 기자 iameu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