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노래' 빼고 '방아타령' 방침에..유족 등 항의 빗발
5.18 광주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장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경기도 민요인 '방아타령'을 내보내기로 한 것을 두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이명박 대통령 대신 정운찬 총리가 기념사를 대독했다.
당초 정부는 정 총리 입장때 '임을 위한 행진곡' 대신 잔치집에나 어울리는 "노자~좋구나"로 시작되는 경기민요 '방아타령'을 연주하려 했으나, 유족들의 성난 분위기에 눌린듯 막판에 이를 생략했다.
반면 지난 30년 동안 5.18 추모곡으로 불렸던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해에 이어 또 다시 배경음악으로만 사용됐다. 국가보훈처는 이와 관련해 5.18 기념식 공식행사 내용 중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5.18 유가족 대표의 '5.18 민주화운동 경과보고' 순서를 올해도 아예 없애버렸다.
5.18 관련 단체들은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구속부상자회와 부상자회, 유족회 등 5.18의 주요 3개 단체 대표들은 이날 거행된 기념식 본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지 못하게 하는 데 항의하는 뜻으로 정부 주관 기념식에 불참했다. 이에 앞서 행사 시작 전에 인근에서 직접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
특히 유족과 관련 단체 회원 100여명은 기념식이 거행된 식장에 난입,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거세게 항의했다. 이들은 정 총리가 대통령 기념사를 대독하자 구호를 외치며 반발했으며, 이 과정에서 검색대가 부숴지는 등 경찰과 마찰도 빚어졌다.
<경향닷컴>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출시-ⓒ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한·베 정상 공동성명 채택 “2030년까지 교역 규모 1500억달러 달성”
- 에어컨 설치 중 3m 아래로 떨어진 60대 노동자, 결국 닷새 만에 숨져
- [속보]민주당 정책위의장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 의견 전달”
- [속보]윤석열, 내란 재판 또 불출석···지귀연 재판부 “궐석 재판으로 진행”
- [속보]특검 출석한 국힘 조경태 “내란 안 끝났다···‘윤 어게인’ 주창은 내란 동조”
- “트럼프 대통령…” 광화문에 낙서하던 70대 노인 붙잡혀
- 정의당 “조국 사면, ‘공정’ 기준 무너뜨려···공감대 결여된 광복절 특사 반대”
- [단독]김건희 특검 “명태균의 ‘보안유지’ 당부는 여론조사 무상 수수 근거”
- 경찰, 전광훈 목사 본격 수사···‘종교적 신앙심’ 범죄에 이용했나
- 일가족 숨진 대구 아파트 화재, 당시 현관문 가구로 막혀 있었다···성냥·양초 다량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