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억 신고’ 꼬마빌딩 평가액 320억…국세청 1분기 75건 감정·5347억원 과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세청(청장 강민수)이 상속·증여 부동산 감정평가 대상을 고가 아파트와 단독주택으로 확대하면서 시세보다 터무니없이 낮게 신고된 사례가 무더기로 포착됐다.
국세청은 올해 1분기 고가 단독주택·빌딩 등 부동산 75건을 감정평가해서 기존 신고액(2847억원)보다 87.8% 증가한 5347억원으로 과세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국세청(청장 강민수)이 상속·증여 부동산 감정평가 대상을 고가 아파트와 단독주택으로 확대하면서 시세보다 터무니없이 낮게 신고된 사례가 무더기로 포착됐다.
국세청은 올해 1분기 고가 단독주택·빌딩 등 부동산 75건을 감정평가해서 기존 신고액(2847억원)보다 87.8% 증가한 5347억원으로 과세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준시가 60억원으로 신고된 서울 성수동 카페거리의 한 꼬마빌딩은 감정 결과 320억원으로 평가돼 증가율이 433%에 달했다.
국세청은 2020년부터 부동산 감정평가 사업을 운영해 왔으며, 지난해까지 꼬마빌딩 896건을 감정평가해 신고액(5조5000억원) 대비 75% 많은 9조7000억원을 과세했다.
올해는 예산을 45억원에서 96억원으로 확대해서 평가 대상을 꼬마빌딩에서 고가 아파트와 단독주택까지로 넓혔다.
1분기 부동산 종류별로 감정평가 1건당 증가액은 꼬마빌딩이 더 컸으나 신고액 대비 감정가액 증가율은 주택이 103.7%로, 빌딩(79.4%)보다 높았다.
매매 사례가 거의 없는 초고가 대형 아파트 신고가액이 중소형 아파트보다 낮은 ‘세금 역전’ 현상도 확인됐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신동아빌라트’(226㎡)는 신고가액이 20억원에 불과해 인근 ‘청담 자이’ 중소형 평형(49㎡)의 21억원보다 낮았으나, 감정평가 결과 결정가액은 2배인 40억원이었다. 서울 용산구 푸르지오써밋(190㎡)은 신고가액 23억원에서 감정가액이 41억원으로 뛰었다.
아울러 국세청은 감정평가 확대 방침 발표 이후 상속·증여재산을 자발적으로 감정평가해 신고하는 납세자도 대폭 늘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1분기에 고가 부동산(기준시가 20억원 이상)을 감정평가액으로 신고한 비율(60.6%)은 지난해(48.6%)보다 약 12%p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국세청 관계자는 “납세자의 자발적 감정평가 신고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장기적으로 시가에 따른 상속·증여 신고 관행이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감정평가를 피할 목적으로 재산을 나눠 증여하는 소위 ‘쪼개기 증여’ 등 회피 행위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원천 차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부동산 과다 보유법인이 직·간접적으로 보유한 골프장·호텔·리조트와 서화·골동품에도 감정평가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 비보…‘이혼숙려캠프’ 방송분 삭제
- 이정재 회사, 신주발행 문제없다…法,소액주주 가처분 기각
- “성소수자 자랑스러워”…한국 男아이돌 최초 커밍아웃
- 배종옥, 과거 男배우 음담패설에 “男 환상 깨졌다”
- 배우 김성령, 결식아동 한 끼 나눔…푸디스트와 선행 행보
- “감사 인사한 게 죄?” 고맙다고 한마디 했을 뿐인데…수백억 날린 이 남자
- 그만둔 회사가 ‘초대박’…서른에 돈방석 앉은 女, 누구길래
- “2025년 나이많은 교황 죽는다” 노스트라다무스, 바티칸의 미래 예언?
-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에게 “맞아야 한다” 위협한 2차 가해자…되레 피해자 ‘협박 혐의’
- ‘고도를 기다리며’ 신구·박근형 ‘기부 공연’…“젊은 배우들에게 작은 힘 보태고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