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에서 일해요" 왜 많나 봤더니…1만2500명 고용 일자리 큰손[천원템의 진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통업계 신흥 강자로 떠오른 다이소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고용 창출에 힘을 보태고 있다.
대내외 불확실성을 이유로 기업들이 채용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다이소는 실적 성장세를 바탕으로 직원 수를 꾸준히 늘렸고, 인건비 관련 지출은 1년 새 12% 넘게 증가했다.
다이소 측은 "작년 매출은 고물가 속에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시즌·시리즈 등 전략 상품이 인기를 얻어 증가세를 보였다"며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규모의 경제를 통한 매출 원가 감소 등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임직원 수 1만2575명
인건비 관련 5580억원 지출
고용 확대 이끈 실적 성장세…영업익 42%↑
유통업계 신흥 강자로 떠오른 다이소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고용 창출에 힘을 보태고 있다. 대내외 불확실성을 이유로 기업들이 채용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다이소는 실적 성장세를 바탕으로 직원 수를 꾸준히 늘렸고, 인건비 관련 지출은 1년 새 12% 넘게 증가했다.
다이소, 지난해 인건비만 5580억…1년 새 12.6% 증가19일 아성다이소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다이소의 지난해 말 기준 총 임직원 수는 1만2575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1년 직원수가 1만203명까지 감소했지만 2022년 1만1372명, 2023년 1만2349명 등으로 1만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유통업계의 고용 축소 분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인력을 늘리며 고용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다이소는 지난해 급여·퇴직급여·복리후생비 등 인건비로 약 5580억원을 지출했다. 이는 전년(4956억원) 대비 약 12.6% 증가한 수치다. 항목별로 보면 ▲급여 4722억원 ▲퇴직급여 433억원 ▲복리후생비 425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12.9%(540억원), 11.4%(44억), 10.1%(39억) 증가했다.
이 같은 인건비 증가는 다이소의 고용 확대를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실제로 다이소는 지난해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공개채용을 실시한 데 이어, 올해도 채용 확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영업·온라인사업·물류·인사총무 등 14개 부문에서 신입 및 경력직을 모집하며 인재 확보에 속도를 냈다.
이는 채용을 축소하거나 미루는 다른 기업들의 움직임과는 대조적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적지 않은 기업들이 정기 공채를 줄이고 수시 채용으로 전환하거나, 아예 채용을 보류하는 추세다. 일부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 구조조정에 나서는 등 인력 확대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지난 2월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1.1%가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고 답했다. '미정'은 41.3%, '아예 없다'고 답한 기업은 19.8%였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같은 조사 대비 3.9%포인트, 2.7%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고물가에 통한 초저가 전략…지난해 매출 4조원 육박다이소의 고용 확대 배경에는 뚜렷한 실적 성장세가 자리 잡고 있다.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9689억원, 3711억원으로 전년보다 14.7%, 41.8% 증가했다. 매출 추이를 보면 ▲2021년 2조6048억원에서 ▲2022년 2조9458억원 ▲2023년 3조4604억원 ▲2024년 3조9689억원 등으로 매년 성장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도 ▲2021년 2838억원 ▲2022년 2393억원 ▲2023년 2617억원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성장세를 이끈 요인으로는 '균일가 전략'이 꼽힌다. 다이소는 5000원을 넘지 않는 가격 정책을 유지하며 고물가 시대 경쟁력을 확보했다. 여기에 시즌별 기획 상품과 시리즈 제품을 꾸준히 출시한 것도 매출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다이소 측은 "작년 매출은 고물가 속에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시즌·시리즈 등 전략 상품이 인기를 얻어 증가세를 보였다"며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규모의 경제를 통한 매출 원가 감소 등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다이소는 당분간 채용 확대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다이소 매장 수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1339개였던 매장 수는 현재 1500여개로 확대됐다. 다이소는 직영점 비율이 높아 매장 수 증가가 곧 본사 인력 확충으로 직결되는 구조다. 여기에 온라인몰 등 비대면 유통채널 강화도 채용 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천원템의 진화' 글 싣는 순서 일본 SNS에 추천템 공유" 외국인 관광명소 된 다이소①다이소의 '큰 손' 외국인 관광객들
다이소는 어떻게 한국의 대표 쇼핑 성지가 됐나
②경기불황을 급성장 기회로 잡은 다이소
쿠팡 보다 다이소 알바…"2시간씩 일해도 OK"
③부업도 침투한 다이소
다이소깡 제출합니다" 아이들의 놀이터
④10대 사로잡은 다이소의 비결
뭐 사려고 들어왔지?" 어른들의 개미지옥된 다이소
⑤뷰티부터 캠핑·홈가드닝까지…다양한 관심사 공략
"이런 것도 파네"…고물가 맞서는 다이소 '신박템' 인기
⑥캡슐커피·베개 방향제 등 신박템 살펴보니
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손가락만 '까딱'하면 오늘배송
⑦오프라인 넘어 온라인 강화하는 다이소
"다이소 창업 문의 급증"...안정적이지만 4억 이상 초기 비용은 부담
⑧탄탄한 브랜드 인지도에 창업 문의 증가
▶"다이소에서 일해요" 왜 많나 봤더니…1만2500명 고용 일자리 큰손
⑨경기침체 속 일자리 늘리는 다이소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울릉도 '비계 삼겹살' 정체 밝혀졌다…"찌개용 고기 잘못 내놔" 업주 사과 - 아시아경제
- 첫날 700만명 몰리더니…"15만원 소비쿠폰 13만원에 팔아요" - 아시아경제
- 일본 여행 간 20대 한국 여성 실종…열사병 치료 뒤 한 달째 행방 묘연 - 아시아경제
- "승려들과 성관계 후 164억 뜯어내"…초대형 스캔들에 불교의 나라 발칵 - 아시아경제
- "같은 신입인데 600만원이나 차이난다"… 직무 따라 벌어지는 초봉 - 아시아경제
- 오윤성 교수 "아들 총격 살해범, 평소 박탈감에 복수심 느꼈을 것" - 아시아경제
- 팬이 "별명 지어주세요" 요청했는데…하정우 "최음제" 댓글, 결국 사과 - 아시아경제
- "목동 학원 땜에 이사요?…아뇨, 우리 앤 '광명 200번' 버스 타고 가요"[新교통난민 보고서]⑪ - 아
- 쓰러진 여성 심폐소생술 했더니…"의사가 가슴 만졌다" 中 누리꾼 '와글와글' - 아시아경제
- "너도 300만원 내라고 했어?" 비상…수백만원 벌금 폭탄에 여행객들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