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들 혼인신고 왜 미루나...“신혼집 마련에 유리해서”
8.8% 혼인신고 안해, 1위는 ‘신혼집 마련’ 때문
4월 17일 결혼정보회사 가연에 따르면 25~39세 기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2025 결혼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8.8%는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6.8%는 ‘미혼일 때 신혼집 마련이 더 유리해서’라고 답했다. 이어 ‘혼인신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8.2%), ‘결혼해도 반드시 해야 하는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해서’(15.9%), ‘아직 배우자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서’(2.3%) 등 이유가 뒤를 이었다.
반면 응답자의 대다수인 91.2%는 혼인신고를 이미 마친 상태였다. ‘결혼식을 올린 후 1년 이내’ 혼인신고를 한 응답자가 4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29.8%), ‘결혼식을 올린 후 2년 이내’(7.2%), ‘3년 이내’(3.6%), ‘3년 이상’(3.2%) 순이었다.
혼인신고를 한 이유로는 ‘결혼하면 당연한 절차라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혼집 마련 혜택을 받기 위해서’(32.5%), ‘배우자에 대한 신뢰’(20%), ‘자녀 교육 문제’(6.8%) 등이 뒤를 이었다.
혼인신고 시기는 연령별로 차이가 뚜렷했다.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 혼인신고 비율은 20대가 42.8%로, 30대(23.4%)보다 훨씬 높았다. 반대로 30대는 ‘결혼식 후 1년 이내’ 신고 비율이 52.4%로 가장 높아, 보다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엿보였다.
조은하 가연 커플매니저는 혼인신고를 미룬 부부의 대다수가 신혼집 마련을 1순위 이유로 꼽은 것을 보면 미혼이 청약에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어 “신혼부부 특별공급이나 세액공제, 청약 기회 확대 등 기혼자를 위한 혜택이 늘어나고, 결혼 페널티를 점점 줄이는 정책이 집중되고 있으니 참고해서 계획을 세우면 좋을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소외된 롯데팬 위한 크보빵 ‘롯데’버전 나온다... 세븐일레븐 PB출시 - 매일경제
- 트럼프 맞선 시진핑의 강력한 ‘패’ [카드뉴스] - 매일경제
- 홍준표, 명태균 묻자 “이재명한테 ‘형수’부터 묻고 와라” - 매일경제
- 집값 올려놓고 거짓말까지… 文정부 집값 통계 102회 조작 - 매일경제
- “나는 천천히 늙고 싶다” 2030 ‘저속노화’ 열풍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이재명 테마주…주식 45억원어치 팔아치운 코나아이 대표 - 매일경제
- 스테이블코인 50조원 빠져나갔다…달러 송금에 쓰인 듯 - 매일경제
- “머스크는 친중이잖아”…‘中전쟁계획’ 브리핑 막은 트럼프 - 매일경제
- 3자대결시 무당층서 이재명 32.9% 한덕수 30.4% 이준석 9.8% [여론조사공정] - 매일경제
- 흑수저의 반란...구다이, 아모레·LG 제치고 이익 1위 등극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