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 오래 걸릴까봐 불안"...Z세대 구직자 97%'불안·공포' 느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Z세대'들이 취업 장기화와 경기침체 등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984명을 대상으로 '취업 체감 난이도'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취업 준비를 1년 이상 감수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69%나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Z세대'들이 취업 장기화와 경기침체 등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984명을 대상으로 '취업 체감 난이도'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취업 준비를 1년 이상 감수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69%나 됐다.
응답자의 80%가 서울 소재 대학 출신이었지만, Z세대 구직자 83%는 '대입보다 취업이 어렵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97%는 '취업 준비 과정에서 불안이나 공포를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고, 가장 큰 원인으로 '취업 장기화'(52%)가 꼽혔다. 이어 '경기침체'(14%), '경제적 부담감'(1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사회적 압박'(7%), '진로 불확실'(6%), '방대한 스펙 준비 요소'(4%)라는 답변이 나왔다.
취업 장벽이 높아진 만큼 '취업 준비' 기간도 길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최대 몇 년까지 취업 준비를 감수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69%는 '1년 이상'이라고 답했다. 전공별로 문과 31%, 이과 26%는 '2년 이상 구직도 각오 중'이라고 밝혔다.
'3년'이라고 답한 이들은 7%, '5년 이상'과 '4년'은 각각 1%였다.
1년 이상 장기 구직을 예상하는 응답자들에게 원인을 물어본 결과, 74%는 '경기 침체', '채용 공고 부족', '채용 시장 불안정' 등 외부 요인을 꼽았다. '진로 불명확', '스펙 부족' 등 내부 요인 때문으로 답한 이들은 26%였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경기침체로 기업 환경이 어려워지고 채용 감소 뉴스가 연이어 등장하면서 Z세대 구직자들 사이에 '역량이 준비돼도 취업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런 환경 속에서 무력감이 커지고 중간에 쉬는 청년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음료수 사줄게 아저씨들이랑…” 강남서 ‘초등생 연쇄 유괴 미수’ 괴담 확산
- 4살 아이, 비싼 ‘영유’ 보내봤자 역효과…“오히려 자존감 낮춘다”
- 할인 남은시간 '05:00'...급하게 결제했는데 또 할인? 공단기·에듀윌 제재
- 대선과 일정 겹친 6월 평가원 모의고사…바뀐 날짜는?
- 조기 대선 시행에 초·중·고 학사일정도 변경…어떤 식으로?
- 美 청소년 10명 중 9명 "난 000 쓴다!"
- "학교 쓰레기통서 네가 왜 나와?" 줄행랑 친 교장선생님
- 의도적인 무게 늘리기? 킹크랩 '얼음치기'가 뭐길래
- 추석 낀 9월 마지막주, 코로나 확진자 감소세 둔화
- '애국 먹방'은 바로 이것?...쯔양, 킹크랩 16인분 '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