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남자’이정후, 몸쪽공 OK! 그런데 바깥쪽도?!

문영규 2025. 4. 17. 1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프로야구 샌프란시스코의 이정후가 오늘(17일)도 멀티 히트 행진을 이어가며 엄청난 타격감을 선보이고 있다.

■바깥쪽 공 대처 방법은? 홈 플레이트에 '바싹 붙기!' 발의 각도와 함께 이정후의 타격 자세에서 두드러지는 부분이 하나 더 있다.

이정후를 상대하는 투수들의 투구 분포만 살펴봐도 바깥쪽을 공략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홈 플레이트에 바짝 붙는 이정후의 타격 자세가 약점일 수 있는 바깥쪽 공 공략에 도움을 주는 것일 수도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정후의 타격 자세에서 뒷발 대비 앞발의 각도는 40도로 메이저리그 전체 10위에 해당하는 극단적인 오픈스탠스다(=베이스볼서번트 닷컴)


미국 프로야구 샌프란시스코의 이정후가 오늘(17일)도 멀티 히트 행진을 이어가며 엄청난 타격감을 선보이고 있다.

더욱 인상적이었던 것은 이정후가 쳐낸 공의 위치였다.

이정후가 오늘 안타를 쳐낸 공의 로케이션, 몸쪽 높은 공(左)과 바깥쪽 낮은 공(右)을 모두 안타로 만들어냈다. (=엠엘비 닷컴)


1회에 쳐낸 첫 안타는 '바깥쪽 낮은 곳'에 들어오는 정확히 제구된 체인지업이었고, 5회 2루타를 만들어낸 공은 까다로운 '몸쪽 높은 곳'에 들아오는 커터였다.

둘 다 타자 입장에선 안타로 연결하기 어려운 공인데 이정후의 타구는 보란 듯이 그라운드를 갈랐다.

이정후의 발 각도는 메이저리그 전체 10위이다. (左) 이런 타격자세로 어제 100마일의 몸쪽 싱커를 쳐냈다. (右)


■'열린 남자' 이정후, '극단적인 오픈스탠스'로 몸쪽 공 대처
이정후의 각종 타격 수치가 메이저리그 상위권에 오른 가운데 또 하나 순위권에 오른 지표가 있다. 타격 시 발의 각도이다.

베이스볼서번트가 제공하는 이정후의 발 각도(뒷발을 기준으로 앞발의 각도)는 40도로 메이저리그 전체 10위이다.

이런 극단적인 오픈스탠스는 공을 길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정후가 좌투수의 몸쪽 공에도 대처가 가능한 이유도 이런 타격 자세에서 나온다.

특히, 어제(16일) 이런 타격 자세의 진가가 제대로 드러났다.

좌투수가 던진 몸쪽 높은 공, 그것도 무려 100마일의 싱커였다. 일반적으로 좌타자에겐 절망스러운 공이었지만, 이정후에겐 문제가 없었다.

이정후의 올 시즌 홈 플레이트와 무게 중심과의 거리는 메이저리그 4위로 가깝다. (左) 이정후의 올 시즌 투구 위치별 타율을 보면 바깥쪽 공과 몸쪽 높은 공 모두 약점이 없다. (右)


■바깥쪽 공 대처 방법은? 홈 플레이트에 '바싹 붙기!'
발의 각도와 함께 이정후의 타격 자세에서 두드러지는 부분이 하나 더 있다. 몸의 무게 중심과 홈 플레이트와의 거리이다.

이정후의 타격 자세에서 몸의 무게 중심과 홈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21.5인치로 매우 가깝다. 무려 메이저리그 전체 4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올 시즌 메이저리그 투수들은 이정후의 바깥쪽을 공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픈스탠스 타격 자세는 바깥쪽 공에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정후를 상대하는 투수들의 투구 분포만 살펴봐도 바깥쪽을 공략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이정후의 투구 위치별 타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올 시즌까지 아직은 바깥쪽 공에 큰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홈 플레이트에 바짝 붙는 이정후의 타격 자세가 약점일 수 있는 바깥쪽 공 공략에 도움을 주는 것일 수도 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문영규 기자 (youngq@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