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도 심장 튼튼하겠지? ‘이 운동’, 부정맥·심방세동 위험 줄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우 하정우는 영화계 '걷기 전도사'로 알려질 정도로 '걷기'를 자신의 건강 비법으로 꼽는다.
추적 기간 동안 발생한 심장 리듬 이상은 심방세동이 2만3526명, 기타 심장 부정맥 1만993명, 서맥 5678명, 심실 부정맥 2168명 등 3만6574명이었다.
심방세동 위험은 빠른 속도 그룹과 평균 속도 그룹이 느린 속도 그룹보다 각각 46%와 38% 낮았고, 기타 심장 부정맥 위험은 39%와 21% 낮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글래스고대 질 P. 펠 교수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평균 55세 성인 42만925명을 대상으로 걷기 속도와 심장 건강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부착된 활동 추적기를 통해 걷기 속도와 소요 시간을 13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걷기 속도에 따라 ▲느린 속도 그룹(시속 4.8㎞ 미만) ▲평균 속도 그룹(시속 4.8~6.4㎞) ▲빠른 속도 그룹(시속 6.4㎞ 이상)으로 각각 분류됐다. 추적 기간 동안 발생한 심장 리듬 이상은 심방세동이 2만3526명, 기타 심장 부정맥 1만993명, 서맥 5678명, 심실 부정맥 2168명 등 3만6574명이었다.
연구 결과, 빠른 속도 그룹과 평균 속도 그룹의 부정맥 위험은 느린 속도 그룹보다 각각 43%와 35% 낮았다. 심방세동 위험은 빠른 속도 그룹과 평균 속도 그룹이 느린 속도 그룹보다 각각 46%와 38% 낮았고, 기타 심장 부정맥 위험은 39%와 21% 낮았다. 걷기 속도와 심장 박동 이상 간 연관성 중 36%는 신진대사 및 염증 요인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관성은 알려진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와는 무관했지만, 여성·60대 미만·비만이 아닌 사람·장기 질환자 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관찰 연구이기 때문에 인과 관계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걷기 속도와 부정맥 위험 간 연관성에서 대사 및 염증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며 “평균 혹은 빠른 속도로 걷는 게 고위험군의 부정맥을 줄이는 데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의학저널 ‘BMJ’ 자매학술지 ‘심장(Heart)’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렇게 걸으면 몸 망가진다”… 잘못된 ‘3가지 걷기 방법’ 뭘까?
- "중년 사이 '맨발 걷기' 인기라는데"… '위험한 점'도 있어 알아둬야
- “다이어트 포기하고파” 72kg 감량 박수지 ‘번아웃’… 극복 위해 해야 할 건?
- "살 빠진 비결?" 안은진, 공원에서 의외의 '이 운동' 삼매경
- "체지방 빠진다" 김완선, 한 달 내내 '이 음식' 먹었다던데… 뭘까?
- ‘식초 다이어트’ 오래 하면 간암 걸린다고요? [SNS 팩트체크]
- 한혜연, ‘이것’만 먹고 “1주일에 2kg 감량”… 방법 봤더니?
- “23시간 코르셋 착용”… 샤워할 때만 벗는다는 30대 女, 모습 보니?
- “오늘은 내가 쏠게” 친한 친구에게 한 턱 내면, 뇌는 ‘이것’ 느낀다
- ‘주사 대신 치실 백신’ 시대 열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