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미세 플라스틱의 역습…해양 넘어 토양 오염까지

김진희 2025. 4. 16. 12: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주범으로 꼽히는 미세플라스틱이 토양까지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인체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김진희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5밀리미터 미만의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

이 미세플라스틱에 바다가 오염되면 이내 해산물에 축적되고, 이를 섭취한 인간의 몸에 유입될 수도 있는데요.

토양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토양의 오염도가 해양보다 더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이상기후가 극심해지면서 값싼 플라스틱 자재로 농작물을 보호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요.

[사라 잭/오염물질 전문가 : "농업 현장에서 토양이나 묘목 보호를 위해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여기에다 도심의 플라스틱마저 농지로 흘러들어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우간다에서는 수도 캄팔라에서만 보이던 플라스틱 봉투 '부베라'가 농촌에서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니콜라스 카욘도/작물 과학자 겸 농부 : "어떤 사람들은 자동차를 운전하며 음료를 마시고선 그 병을 길에 버립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길을 걷다가 그냥 병을 던져버리기도 하고요."]

바다로 땅으로 흘러든 미세플라스틱은 생태계를 위협해 결국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플라스틱 소비량은 지난 30년 동안 네 배나 늘었습니다.

더 늦기 전에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후는 말한다' 였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진희 기자 (hydroge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