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다가 발목 안 다치려면, ‘종아리’ 풀어주세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봄기운이 완연해진 요즘, 야외 활동이 부쩍 늘어난다.
특히 선천적으로 아킬레스건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운동 전후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스트레칭을 습관화해야 하고 당기거나 통증 혹은 힘줄이 두꺼워지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활동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게 좋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걸음에 반동을 만들어 주는 구조물로 우리 몸에서 가장 굵고 튼튼한 힘줄이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몸을 지면에서 들어 올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걸을 때마다 가해지는 하중이 크고 자주 일을 해야 하는 힘줄이지만 역할에 비해 혈액순환이 취약해 파열이 발생하기 쉽다. 갑작스러운 가속과 감속이 필요한 운동 혹은 점프가 필요한 운동 중 종아리 근육의 순간적인 수축력에 의해 갑자기 ‘뚝’ 하는 느낌과 함께 통증을 동반한 파열이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이외에 만성적 퇴행성 변화나 발꿈치 뒤쪽 통증을 가지고 있다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상계백병원 족부족관절센터 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 파열을 예방하려면 운동 전후에 적절한 종아리 스트레칭은 물론 몸 전체 유연성과 순발력이 떨어지면 갑작스러운 하중을 아킬레스건이 감당해야 하는 순간이 생기기 쉬우므로 전신 준비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서영 교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이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경직된 몸이 적응되기 전에 운동 강도를 갑자기 높이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아킬레스건 만성 건염은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퇴행성 변화가 항상 통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변화가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선천적으로 아킬레스건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운동 전후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스트레칭을 습관화해야 하고 당기거나 통증 혹은 힘줄이 두꺼워지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활동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게 좋다.
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은 한번 손상되면 수술이 필요하기도 하고 회복 과정이 긴 편이다”라며 “손상 후 운동을 재개하기까지 6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따스한 봄에 등산을 비롯한 야외활동을 할 때는 전후로 꼭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도 먹었는데”… 흔한 ‘이 음식’, 혈압 낮춰준다
- 비싼 종합비타민 대신 ‘이것’ 꾸준히 먹어보자
- “먹으면 큰일” 소이현, 식사 후 ‘이것’만은 꾹 참던데… 뭐였을까?
- 위고비 vs 마운자로, 국내 시장서 붙는다… 판매사는 어디?
- “수술대 꽉 잡아” 규모 8.8 강진 속 환자 지킨 의료진 영상
- 통풍 치료제, 효과 잘 보려면 ‘이 음식’과 함께 [藥食궁합]
- ‘실망스러운 무대’ 빈축 산 저스틴 팀버레이크, 이유 있었다… ‘이 병’과 싸우는 중 고백
- “날씬한 이유 있었네” 이엘, 운동 마니아라는데… 뭐 하나 보니?
- “다이어트에 최고로 도움” 윤은혜, 매일 먹는다는 ‘음식’ 정체는?
- ‘7대륙 최고봉 첫 등정’ 허영호 대장, 담도암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