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마비 남성, 상상만으로 로봇팔 움직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지마비 남성이 동작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팔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샌프란시스코 카루네시 갠글리(사진) 교수팀은 7일 과학저널 셀(Cell)에서 사지마비 환자가 특정 동작을 상상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신호 등의 변화를 포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BCI 장치로 로봇팔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거 장치와 달리 7개월간 작동
사지마비 남성이 동작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팔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뇌 신호를 포착해 컴퓨터로 전달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이용한 덕분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샌프란시스코 카루네시 갠글리(사진) 교수팀은 7일 과학저널 셀(Cell)에서 사지마비 환자가 특정 동작을 상상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신호 등의 변화를 포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BCI 장치로 로봇팔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갠글리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BCI 장치는 1∼2일 작동에 그쳤던 과거 장치들과 달리 조정 필요 없이 7개월간 작동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수년 전 뇌졸중으로 사지가 마비된 연구 참가자가 특정 동작을 반복해 상상할 때 뇌의 활동이 매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찾아내는 것이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뇌 표면에 작은 센서들을 이식하고 동작을 상상할 때 뇌 신호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손·발·머리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움직이는 상상을 하도록 요청했다. 참가자는 실제로 움직일 수 없었지만 자신이 움직인다고 상상할 때 뇌에서 그 움직임에 상응하는 특정 신호 패턴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반 BCI는 센서에 포착된 이들 신호의 변화와 위치 등을 기록했다. 특정 동작을 할 때 뇌에서 나타나는 신호 형태는 동일하게 유지됐지만 신호 위치는 날마다 조금씩 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참가자에게 2주 동안 손가락 등 특정 신체 부위를 움직이는 간단한 동작을 상상하게 하면서 센서로 뇌 활동을 기록해 AI를 훈련시켰다. 참가자는 이 BCI를 이용해 동작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 팔과 손을 제어하는 훈련을 하는 과정을 거쳐 자신이 원하는 대로 로봇팔을 작동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참가자가 실제 로봇팔로 연습을 시작한 뒤 몇 차례 연습 만에 블록을 집어 들고 돌리거나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었다. 또 캐비닛을 열고 컵을 꺼낸 다음 정수기에서 물을 받을 수도 있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면전서 싸인 “짝짝” 찢은 대학생
- 남침 준비 중인 북한…“황해도 곡산에 ‘종로구·제주도 지형’ 훈련장 있다”
- 매달 월급통장에 1억1900만원 넘게 꽂혔다…초고소득 직장인 3300명 달해
- 2030이 뽑은 위험한 정치인 1위 이재명…2030 지지율 국힘 42.5%·민주 39.7%-여론조사공정
- 나문희 “김어준 칭찬했더니 나한테 좌파라더라…세상이 참 고약해져”
- “전광훈·손현보가 극단? 개신교 8할은 지지” 현직목사가 라디오서 한 말
- [속보]尹 탄핵인용 56%·기각 37%…이재명 29%·김문수 10%[NBS조사]
- 이재명, 폭동 선동 글에 “반드시 대가 치를 것…역사에 죄 짓지 마라”
- 동대문 아파트 엘베 오작동 다리 절단·사망…관리자 2명 집유
- 조국혁신당 “尹 파면돼도 최상목이 대선 공고 안 한단 희한한 이야기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