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이 혈관 막는 뇌경색 “너무 많고 무섭다”...최악의 식습관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간을 다투는 응급질환 중 뇌졸중을 빼놓을 수 없다.
뇌의 혈관이 혈전 등에 의해 막히면 뇌경색, 혈관이 터져 피가 흐르면 뇌출혈이다.
늦어도 50대부터 내 혈관에 관심을 기울여야 생명을 위협하고 몸의 마비 등 장애가 남을 수 있는 뇌경색을 예방할 수 있다.
고혈압,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비만이 있는 사람이 식사-운동에 신경 쓰지 않으면 뇌혈관 이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간을 다투는 응급질환 중 뇌졸중을 빼놓을 수 없다. 뇌의 혈관이 혈전 등에 의해 막히면 뇌경색, 혈관이 터져 피가 흐르면 뇌출혈이다. 우리나라 뇌졸중은 뇌경색이 70~80%를 차지하고 있다. 한쪽 몸의 마비, 말이 어눌해지는 등의 증상을 빨리 파악해 혈관 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직행해야 한다. 경각심 차원에서 뇌경색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뇌혈관 막힌 사람 "이렇게 많았나"...늦어도 50대부터 혈관에 신경 써야
식습관의 변화 등이 겹쳐 뇌경색은 빠르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뇌경색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2022년에만 52만1011명이다. 2018년 48만4411명에서 매년 꾸준히 늘었다. 뇌경색 환자는 60대가 25.1%(13만751명)나 됐다. 이어 70대, 80대 환자 순이다. 뇌경색은 오랫동안 서서히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 늦어도 50대부터 내 혈관에 관심을 기울여야 생명을 위협하고 몸의 마비 등 장애가 남을 수 있는 뇌경색을 예방할 수 있다.
뇌혈관 망가뜨리는 출발점...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등
뇌경색은 사고처럼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고혈압,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비만이 있는 사람이 식사-운동에 신경 쓰지 않으면 뇌혈관 이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국인은 미국-유럽에 비해 지방은 적게 먹지만 탄수화물 섭취 비율은 높다, 밥이 주식이기 때문이다.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탄수화물:단백질:지방 섭취비율은 60%:16%:24%로, 미국의 47%:16%:36%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국물 위주의 식사로 하루 소금 섭취량이 약 10g(나트륨 3.9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권고량 5g보다 훨씬 많다.
혈관에 좋은 음식 vs 절제해야 할 음식
뇌혈관,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어떤 음식이 좋을까? 질병관리청은 생선, 콩류, 통곡류, 저지방 유제품, 채소-과일, 견과류 등을 권하고 있다. 반면에 기름기 많은 육류, 육가공품(소시지 햄 등), 크림이 많은 간식, 튀긴 음식, 단 음식 등은 절제해야 한다. 좋은 한 끼 식단의 예로 현미밥, 단호박배추 된장국, 저염된장 삼치구이, 느타리버섯볶음, 고추김치 등이다. 흰쌀밥 대신 통곡물인 현미를 섞어 식이섬유를 늘렸고, 단백질 섭취를 위해 육류 대신 생선인 삼치를 선택했다. 단호박, 배추, 고추, 생채소, 버섯 등 다양한 채소를 포함했다. 저염된장을 활용해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다.
근력 운동은 주 2~3회가 적당...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도 중요
활발한 몸 움직임, 운동은 뇌혈관, 심장질환 발생을 막아주는 1차 예방 효과와 이미 생긴 경우 재발을 막아주는 2차 예방 효과가 모두 있다. 근력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달리 사용한 근육이 쉬는 시간이 필요하다. 매일보다는 일주일에 2~3번이 적당하다. 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도 중요하다. 자세의 안정성과 균형 능력을 올릴 수 있다. 관절 부위를 스트레칭 할 때 근육의 당김이 느껴질 정도로 10~30초 유지하고 2~3회 반복한다. 중년 이상은 운동 시 안전이 중요하다. 혈압, 혈관 상태를 확인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게 좋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밤 중 코피 터져"...얼굴 100바늘 꿰매고, 한쪽 눈 제거한 60대女, 무슨 일? - 코메디닷컴
- “어, 벌써 이 냄새가”...몸 냄새-입 냄새 일으키는 최악의 습관은? - 코메디닷컴
- 18kg 뺀 솔비 “딱 3가지 운동으로 몸매 유지 중”…뭐하나 보니 - 코메디닷컴
- “엉덩이 키운 후 문도 통과 못해”…30대女 후회하고 20kg뺀 사연은? - 코메디닷컴
- "주1회 이상 성관계 꾸준히"...女 '이 위험' 늦춘다고? - 코메디닷컴
- 사귀는 여성이 ‘남사친’ 많다면?...男 정자 농도 더 높다고? - 코메디닷컴
- “화장실 환풍기·비데, 안 쓰면 정말 찝찝해”…그 이유는? - 코메디닷컴
- “굶기부터 시작하면 살 안 빠져”…다이어트 성공 이끄는 좋은 습관은? - 코메디닷컴
- “이별 후 계속 피곤”…24세女 알고보니 ‘이곳’ 암, 무슨 일? - 코메디닷컴
- 아기 뱃속에 ‘태아 2명’ …생후 3일된 아기 복부 열어보니, 무슨 일? - 코메디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