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 아파트 3.3㎡당 3천861만원···전고점 99.4% 회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반등하며 평균 매매가가 고점이었던 2021년의 99%까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3.3㎡당 평균 30861만 3000원으로, 2021년(3885만 5000원)의 99.4% 수준이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년 대비 4.5% 오르며 지난해 3.3㎡당 평균 2319만 9000원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반등하며 평균 매매가가 고점이었던 2021년의 99%까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3.3㎡당 평균 30861만 3000원으로, 2021년(3885만 5000원)의 99.4% 수준이다. 서울 집값은 2021년 고점을 찍은 이후 2022년(3738만 2000원)과 2023년(3613만 5000원) 연속으로 하락했으나 지난해는 전년 대비 6.9% 상승하며 전고점 수준을 회복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3월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3월 넷째 주 전주 대비로 상승 전환한 후 12월 넷째 주까지 40주 연속 올랐다. 다만 12월 마지막 주에 들어서는 전주 대비 보합(0.00%)을 나타내며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년 대비 4.5% 오르며 지난해 3.3㎡당 평균 2319만 9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2515만 4000원)의 92.2% 수준이다.
다만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집값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2021년 3.3㎡당 1030만 1000원에서 2022년 959만 8000원으로 6.8% 떨어졌다. 2023년(945만 1000원)은 전년 대비 2.6%, 지난해(932만 6000원)에는 0.3%의 하락률을 각각 기록했다.
이를 포함한 전국 아파트의 지난해 평균 매매가는 3.3㎡당 1619만 5000원으로, 2021년(1765만 2000원)의 91.7%에 해당한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한 것은 5년 이하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른바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현상이 강화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서울에서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상승률은 같은 해 1월 대비 7.8%에 달했다.
같은 조건에서 전국 아파트 상승률은 1.6%에 그쳤고, 수도권은 3.39% 상승해 지방과 서울의 온도 차이를 드러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신축 아파트가 가격 상승세를 이끌면서 이러한 온기가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백주연 기자 nice89@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근 배 아프고 살 빠진 이유…'OO' 부족해서' 한국인 4명 중 1명 겪어
- 임지연, '혼외자 논란' 정우성 향해 환호 '논란 예상치 못해'
- '남잔데 키 180cm에 50kg이라고?'…'여기' 가기 싫었던 20대, 집유 선고
- '아기 태어나면 '200만원''…부모라면 '이 혜택' 챙겨야
- '요즘 누가 와인·위스키 마셔요'…편의점서 2000개 매장 늘린 '이 술'의 정체
- 드라마 ‘수사반장’ 시나리오 쓴 윤대성씨 별세…향년 85세
- '부정선거 반박 영상 출연했더니'…오상진 SNS 비공개 전환, 무슨 일이?
- 로제의 ‘아파트’ 빌보드 ‘핫100’서 3위…캐럴 빠지니 역주행
- 국회의원 설 떡값 'OOO만원' 나온다…'서민 5배' 상여금에 '헉'
- “내 동기 돈 많아, 한번 만나봐”…이 농담도 성희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