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들 부들부들...전세 1억씩 올려도 매물 없어 발동동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대폭 줄었습니다. 지난해 초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30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전일 기준 2만6993건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3만5000건 규모를 유지했지만, 이후 빠르게 감소하며 2만건 중반으로 줄었습니다. 지난해 초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5만5882건까지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규모입니다.
이렇다보니 대단지임에도 매물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상황입니다.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의 대단지 ‘답십리청솔우성’(1542가구) 현재 전세 매물이 ‘0건’이며, 바로 옆 단지인 ‘래미안미드카운티’(1009가구) 6건, ‘전농우성’(1234가구) 7건, ‘답십리두산’(739가구) 1건 등 전세 매물이 한 자릿수에 그치는 상황입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노원구 상계동 '은빛2단지(1313가구)'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2061가구)' △성북구 석관동 '두산(1998가구)' △양천구 목동 '롯데캐슬위너(1067가구)' △중랑구 신내동 '데시앙(1326가구)' 등도 전세 매물이 없거나 한 두 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매물이 급감하면서 전세가격도 오르고 있습니다. KB부동산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8월 2442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249만원에서 1년 만에 200만원가량 올랐는데, 이 기간 상승률은 9.96%에 달합니다.
이 같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부족이 심화되는 건 입주 물량 부족, 비(非)아파트 기피 현상으로 인한 아파트 쏠림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더욱이 임대차 2법 시행 4년이 지나 만기가 돌아온 전세 매물이 시장에 나오고 있는 데다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 시기가 맞물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관측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엔비디아, 분기 매출 300억달러 넘어...500억달러 추가 자사주 매입
- 하이브리드 제네시스 나온다…현대차 120조 통큰 투자
- 추석 앞두고 식품·외식 가격 줄줄이 인상
- 3만원 짜리를 3천원에 파니...가성비 제품 '다 있소'
- 약물투여·심폐소생...간호사, 의사대신 가능해진다
- '알리가 우리 딸 잡겠네'...싸다고 샀더니, 발암물질 덤으로
- "전기차 캐즘 그게 뭔데?"...中 BYD, 2분기 순익 급증
- 노후 빌라촌, 아파트 수준으로 탈바꿈...30곳 어디?
- 구글 AI 모델 제미나이 이미지 생성 기능 재개
- 텔레그램 CEO 구금 종료…곧 기소 여부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