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3만여명에 발송된 문자에 ‘부글’…“이게 바로 열정페이 강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경찰청이 지난 8일 3만여명의 경찰관들에게 발송한 한 통의 문자가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청문감사인권담당관실이 기강 확립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문자에 소명의식에 관한 백범 김구 선생의 명언을 활용한 것인데 특정일에 초과근무 수당 지급이 어렵다는 내부 지침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발송돼 '열정페이'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찰청이 지난 8일 3만여명의 경찰관들에게 발송한 한 통의 문자가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청문감사인권담당관실이 기강 확립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문자에 소명의식에 관한 백범 김구 선생의 명언을 활용한 것인데 특정일에 초과근무 수당 지급이 어렵다는 내부 지침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발송돼 ‘열정페이’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해당 문자에는 “돈 맞춰 일하면 직업이고 돈 넘어 일하면 소명입니다. 우리 일의 가치와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며 하루를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틀 후인 10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돈 없어 초과수당 못 준다는 이야기를 뭘 저렇게 포장하냐”는 글이 올라왔다. “김구 선생의 명언을 전혀 다른 맥락으로 보냈다”, “어느 시대인데 열정페이를 요구하는 것이냐”,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건가요?” 등 댓글도 다수 보였다.
발단은 이렇다. 경찰청은 앞서 6일 초과근무를 최소화하는 내용의 ‘경찰청 근무혁신 강화 계획’을 시도경찰청과 부속기관에 내려보냈다. 초과근무 신청이 제한되는 날을 매주 수요일에서 연말까지 수·금 이틀로 확대하는 게 주 내용이다.
지침 발표 후 경찰 내부에선 “열정페이를 강요한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한 경찰관은 “야간 집회가 열리면 경비나 정보 경찰관이 출동한다”며 “굵직한 사기 사건이나 형사 사건이 발생해도 초과근무를 하는데 앞으로 수요일과 금요일에는 무급으로 초과근무하라는 뜻이냐”고 반문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새 지침 발표 이후 불만이 많은 마당에 그런 문자를 받으니 ‘돈 받지 말고 일하라’는 뜻으로 이해된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경찰관의 ‘워라밸’ 차원 조치이지 예산과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뉴스1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이날 “다른 지방 경찰청에서 초과근무 시간을 허위 입력해 수당을 부당 수령한 사례가 있어 소명의식을 가져달라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결과적으로 오해에서 비롯된 해프닝이지만 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한 경찰관은 “부정 수령 근절 메시지는 있었지만 이렇게 초과근무 자제 요구는 처음”이라며 “예산이 동나 고육책을 낸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고 말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