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행위 막고자 이름 대신 번호로..구술로 치른 과거시험 어땠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10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강서 시권'을 정하고, 4일부터 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 전시실에서 공개한다.
'강서 시권'은 과거시험 중 구술로 치른 문제와 결과를 표기한 시험지다.
시험지에 남아있는 흔적을 바탕으로 공평하게 인재를 등용하고자 했던 조선 왕실의 노력을 읽을 수 있다고 박물관 측은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평한 인재 등용 위한 조선 왕실 노력 엿보여"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10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강서 시권'을 정하고, 4일부터 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 전시실에서 공개한다.
'강서 시권'은 과거시험 중 구술로 치른 문제와 결과를 표기한 시험지다.
구술시험은 문과, 무과, 잡과 시험 등 과거시험에서 꼭 거쳐야 하는 과정이었지만 그 사실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 시험지는 구술시험 중에서도 삼경(주역, 서전, 시전)과 사서(논어, 맹자, 중용, 대학) 등 주요 유교 경전 7개에서 구절을 뽑아 외우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칠서강'(七書講)을 담고 있다.
시험지에는 각 경전의 제목이 도장으로 찍혀 있고 그 아래에 문제와 시험 성적, 시험관의 서명이 차례로 돼 있다. 오른쪽에는 접힌 자국과 봉투를 봉하고 난 뒤 찍은 도장이 남아 있다.
접힌 공간에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적은 뒤 끈으로 묶어 봉했고, 시험을 볼 때는 실명 대신 천자문의 차례에 따라 매긴 번호를 불러 부정행위를 방지했다.
시험지에 남아있는 흔적을 바탕으로 공평하게 인재를 등용하고자 했던 조선 왕실의 노력을 읽을 수 있다고 박물관 측은 설명했다.
전시실에서는 조선후기 문신인 신현이 작성하고 임금(순조)이 직접 검토한 답안지인 '신현 시권'도 관람할 수 있다. 박물관 유튜브에서는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 영상을 볼 수 있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아파트 18층서 추락한 3세 '기적 생존'…"콘크리트 아닌 나무에 걸렸다"
- "말도 없이 야시시한 비키니 화보 찍은 아내…SNS서 지인도 봤다" 분통
- "공무원 실수로 시아버지와 혼인신고…X족보 만들어" 17년째 고통 호소
- 계산 마친 손님에 뺨 맞은 직원…반격하다 '쌍방 폭행' 몰려 억울[영상]
- '尹 계엄 옹호 목사 행사 참석 논란' 양동근, 얼굴에 욕설 쓰고 "맘껏 욕해"
- 박나래, 시스루에 비키니…역대급 웨딩화보 "나와 사랑에 빠졌다"
- 안정환 "축구 하다가 똥 싼 적 있다"…일동 경악
- 안유성 명장, 1700평 땅부자 인증…"목표는 5천평" 이유는
- '설경구♥' 송윤아, 15년 전 子 육아 회상…엄마 미소 가득 [N샷]
- '문원 논란' 신지, 밝은 미소로 호주行 "잘 다녀올게요" [N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