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버티고 전세가는 62주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가 6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매매가도 중저가 아파트 단지에 수요가 몰리면서 전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이어갔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전주와 동일한 0.01%다.
전세는 전주 1.46%에서 이번주 1.06%로 상승폭이 줄어들었고 매매가 또한 전주 0.66%에서 이번주 0.51%로 소폭 줄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전주와 동일한 0.01%다. 연이은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지난 7월 초 고점(0.11%)을 찍은 후 상승폭을 좁혀온 만큼 보합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하방 압력을 견뎌내며 여전히 상승장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매수세가 위축되며 관망세에 돌입한 고가 아파트, 재건축 단지와 달리 9억원 이하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진 탓이다. 반면 고가주택이 모여 있는 ‘강남 3구’의 경우 서초구와 송파구가 4주째 보합을 유지했다.
전세가 상승세도 꾸준하다. 특히 서울은 0.09%의 변동률을 보이며 이번주를 포함해 62주째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차인의 권리를 강화한 임대차 3법이 한 달여 전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시장에서 전세 매물이 자취를 감춘 탓이다. 전세가가 0.17% 오른 강동구는 이번주에도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 3구’인 강남·서초·송파구도 각각 0.13%의 상승률을 보였다. 강북 지역에서는 마포구가 0.15%, 은평구가 0.12% 올랐다.
한편 ‘천도론’의 영향을 받은 세종의 전세와 매매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았지만 그 폭은 소폭 줄었다. 전세는 전주 1.46%에서 이번주 1.06%로 상승폭이 줄어들었고 매매가 또한 전주 0.66%에서 이번주 0.51%로 소폭 줄었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文대통령, '의사-간호사 갈라치기' 일파만파에 정청래 '대체 뭘 잘못…트집 위한 트집'
- 한지민의 가을 '이렇게 사랑스러울 수가…' 여신이 따로 없네
- 추미애 아들 '황제복무 의혹' 녹취록 나오자 김웅 '물러나시는 것이 당연'
- 역시 '미스맥심' 우승할 몸매, 이시현과 '심야 호텔 풀장 데이트' 떠나볼까?
- 태풍 '마이삭' 이은 '하이선' 7일 상륙…통영→춘천 휩쓸듯(종합)
- 날아가고 무너지고 잠기고…'마이삭' 덮친 제주, 강풍·1000㎜ 물폭탄에 쑥대밭(종합)
- '초속 25m 강풍에 물폭탄'…제주, 매우 강한 '마이삭' 영향권 '피해 속출'(종합)
- 한혜진, S라인 확 드러나는 브라탑에 레깅스…이 몸매에 다이어트?
- 文 '간호사 옹호 발언'에…의사들 더 화났다
- 송가인, 이렇게 섹시했었나? 트임 원피스·숏팬츠…반전 매력에 '시선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