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임대차 제도 오해 신속히 풀어야" 김종인 "정부가 세입자-임대인 갈등 키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대차 3법' 강행 처리 이후 월세 전환 가속화를 둘러싼 여야 대립이 당 대표들 간의 메시지 전쟁으로 번지고 있다.
지금의 전월세 시장 혼란을 '임대인과 임차인의 갈등'으로 진단한 대목은 이 대표와 같았지만 그 원인을 민주당의 '2년+2년' 전세 기간 연장과 전월세 인상률 5% 제한 내용 등을 담은 '부동산 입법 과속'으로 본 것.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적극 개입론 vs 개입 부작용론 맞서
이낙연 "제도 취지 최대한 홍보해야" 김종인 "결국엔 주택공급 차질 빚을 것"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 제도에 대한 오해로 갈등이 예상되니 신속히 대응해 달라”고 지난달 말 민주당이 단독으로 처리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의 후속 대응을 당정에 주문했다. 이어 “이례적으로 (국회에서) 신속하게 법안을 처리하고 임시 국무회의까지 열어 공포와 시행까지 빠르게 처리한 것은 임대인과 임차인 및 시장의 혼란을 조기에 진정시키기 위해서였다”며 법 시행 배경을 길게 설명했다. 전날 윤준병 의원의 ‘자연스러운 전세제도 소멸’ 발언이 논란이 되자 정부 여당의 정책 목표가 전세제도 아래에서의 ‘임차인 보호’임을 명확히 하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정부 개입 필요성을 강조한 것.
반면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해 (민주당이) 신속하게 법을 개정했다지만 이로 인해 결국 세입자와 임대인에 대한 갈등 구조를 더 고조시켰다”고 비판했다. 지금의 전월세 시장 혼란을 ‘임대인과 임차인의 갈등’으로 진단한 대목은 이 대표와 같았지만 그 원인을 민주당의 ‘2년+2년’ 전세 기간 연장과 전월세 인상률 5% 제한 내용 등을 담은 ‘부동산 입법 과속’으로 본 것.
김 위원장은 이어 “정부가 제도적으로 시장가격에 관여했을 때 이것이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냉정하게 판단했느냐”면서 “정부의 조치가 발동되면 경제 주체는 그에 대한 적절한 적응이 언제든 가능하다는 걸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과도하게 신속성을 강조하면서 전세 시장의 변화로 인한 후폭풍을 키웠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종국에 가서 이런 정책을 관철시킬수록 주택 공급에 차질이 발생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면서 시장 메커니즘을 존중한 부동산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런 물난리 생전 처음"..복구장비 반입 안돼 발만 '동동'
- "쿵쿵 소리 나더니 펜션 사라져"할머니-딸-손자 함께 참변
- "이렇게 죽는구나 싶었는데.."거동 불편한 노부부 구한 이웃들
- 8월 중순까지 비'최장 장마' 기록 깨질듯
- 장마전선 영향에..한강주변도로 곳곳 일제히 통제
- "권력형 비리는 모두가 피해자"40일만에 침묵깬 윤석열 작심 비판
- "예측 어려운 게릴라성 폭우"위기경보 최고 '심각' 발령
- 태풍 '하구핏' 푸저우 동북동쪽260km 부근서 북서진..내일밤 소멸 전망
- 가평 펜션 매몰 '외할머니·엄마·두살배기' 3대 3명 숨진 채 발견
- "北, 폭우에 황강댐 일부 수문 개방점차 낮아지고 있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