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문화] 사각 캔버스의 틀을 깨다..윤병락의 '사과'

김석 2022. 5. 7. 21: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주말 앤 문화 시간입니다.

​금방이라도 쏟아질 것 같은 탐스러운 이 사과 그림, 이른바 '사과 작가'로 불리는 윤병락 작가의 그림입니다.

진짜 사과도 깜짤 놀랄 만큼 사실적인데다, 변형된 캔버스는 색다른 생동감까지 자아내는데요.

작가만의 특별한 작품 세계, 함께 만나보시죠.

김석 기잡니다.

[리포트]

상자 가득 가을 향기를 한껏 머금은 사과.

방금 따온 걸까.

손 내밀면 만져질듯 생생함이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사과 모양을 그대로 살린 그림과 상자 밖에 놓인 사과까지.

전시장 벽을 캔버스처럼 활용한 특별한 작품입니다.

다 똑같은 사각형 캔버스의 틀을 깰 수 없을까 고민하던 시절.

이런저런 시도를 하다가 우연히 눈에 띈 소재가 바로 '사과'였습니다.

[윤병락/작가 : "좀 더 큰 대작을 할 수 있는 소재가 뭐 없을까 늘 고민을 하고 찾던 중에 우연히 길 가다가 길가에서 과일 상자를 놓고 파는 트럭을 봤어요. 그때 찍어 온 사진으로 첫 시도를 했던 변형 캔버스 사과 상자 작품이거든요."]

배경에 여백이 없이 그림의 대상이 화면을 꽉 채운 작품들.

처음엔 주판 같은 사각형 모양에서 출발했지만 사물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을 더해 작가만의 고유한 구도와 시점이 어우러진 '사과 그림'의 세계를 열었습니다.

[윤병락/작가 : "벽 공간 전체가 제 그림하고 어우러지게끔 그림의 공간을 캔버스 안에 가두는 게 아니고 확장시키는 거죠. 그게 제가 변형 캔버스를 계속하고 또 탐구하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그렇게 20년을 그려 온 덕분에 이젠 '사과' 하면 '윤병락' 할 정도로 유명해진 그림.

이번 전시는 그런 사과 그림이 어떻게 탄생했고, 그동안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작가가 왜 지금도 사과를 그리는지 확인할 기회입니다.

[윤병락/작가 : "제 그림을 보는 분들이 자신의 어떤 아픈 부분들을 좀 치유하고, 따스함을 느꼈으면 하는 게 제 바람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영상편집:김형기/화면제공:아이프 아트매니지먼트

김석 기자 (stone21@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뉴스의 포스트 beta

  • 대한민국 미술가 열전(72) 윤병락 편 특정한 소재에 집중해 그 소재가 어떤 화가의 수식어로 불리는 경우가 많죠. 윤병락 하면 ‘사과’입니다. 다 똑같은 사각형 캔버스의 틀을 깰 수 없을까 고민하던 시절, 이런저런 시도를 하다가 우연히 눈에 띈 소재가 바로 ‘사과’였습니다. 길 가다가 과일 트럭에서 찍어온 사진으로 변형 캔버스 사과 상자 작품을 처음 시도했다죠. 사과 그림의 시작이었습니다. 2022년 봄, 호리아트센터에서 열린 <윤병락: 아카이브展>는 사과 그림이 어떻게 탄생했고, 그동안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작가가 왜 지금도 사과를 그리는지 확인할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다시, 윤병락의 예술을 돌아봅니다.

    메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