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차출론’ 매몰… 중도층 이재명 지지율 40%, 국힘 1위 홍준표는 6%
‘尹의 수렁’ 국민의힘 지지율 비상
‘尹 신당’ 논란 겹쳐 중도층 등돌려… 창당계획에 “尹 ‘중요하지 해봐’ 말해”
안철수-한동훈 “尹과 거리 둬야”… 홍준표-김문수는 “도리 아니다”
● 한덕수 직무평가 긍정 41% 부정 50%
한국갤럽이 15∼17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8일 발표한 여론조사(무선전화 면접 100% 방식.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은 38%였다.
반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은 모두 한 자릿수 지지율에 그쳤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 권한대행,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지지율은 각각 7%, 한동훈 전 대표는 6%였다.
당초 기대했던 컨벤션 효과가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 권한대행이 보수진영 후보들과 지지율을 나누면서 혼전 양상만 심해지고 있는 것. 실제로 중도층에서는 홍 전 시장(6%), 한 전 대표(5%), 김 전 장관(4%)과 한 권한대행(4%)의 지지율을 모두 합해도 19%로 민주당 이 전 대표의 중도층 지지율 40%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국민의힘 일각에선 한 권한대행 출마론이 부메랑으로 돌아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재명 일극 체제’와 대비되는 경선 흥행이 기대됐지만 ‘한덕수 차출론’ 이후 중도보수 성향으로 평가받던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이 잇달아 대선 불출마와 경선 불참을 선언하면서 경선 시작부터 김이 빠졌다는 것. 한 수도권 의원은 “안 그래도 볼 것 없는 집에 대선까지 남은 시간도 별로 없는데 (한덕수 차출론으로) 스스로 발목을 잡은 결과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덕수 차출론’ 자체에 대한 민심의 호응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날 조사에서 한 권한대행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41%, ‘잘못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50%였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7% 수준에 그친다면 경선 이후 대선 출마를 선언하더라도 다른 후보들이 단일화를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당내 “尹 거리 두기 실패로 중도층 떠나”
17일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이 ‘윤 어게인(Yoon Again) 신당’ 창당을 예고했다가 보류하자 당내에선 신당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 권한대행 간 단일화의 플랫폼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윤 전 대통령은 헌재 선고 직후인 4일 변호인들과 저녁 식사를 하면서 신당 창당 계획을 듣고 ‘중요하지. 해봐’라는 취지로 정치 참여 활동에 공감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당의 중도 확장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때 친윤계로 분류됐던 한 의원은 “탄핵까지 됐으면 윤 전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사과를 해야 하는데 왜 엉뚱한 행동을 하느냐”고 지적했다.
당이 윤 전 대통령과의 명확한 관계 설정에 나서지 않자 대선 경선 후보들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 거리 두기를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홍 전 시장은 이날 “(탈당 요구로) 시체에 또 난도질하는 짓을 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김 전 장관 측은 “윤 전 대통령을 시체에 비유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무례하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잘못하면 탈당시키고 잘라내는 것은 책임 없는 정치”라고도 했다.
반면 안철수 의원은 “탄핵의 강을 건너지 않고 어떻게 이재명을 이기겠나”라며 “홍 전 시장의 행보는 이미 이재명에 대한 패배 선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대로면 대선은 필패”라며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촉구했다. 한 전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을 과거로 놓아드리자. 그리고 우리는 미래로 가자”고 말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탄핵 2주 지나도록, ‘尹의 수렁’ 못 벗어난 국힘
- 이재명 “당선땐 용산 갔다 靑으로”… 김경수-김동연 “집권초부터 세종 근무”
- 美 “中선박에 입항료”… 관세 이어 ‘해운전쟁’
- 이른 ‘벚꽃 엔딩’에 매출 뚝… 상인들 “올 4월은 잔인한 달”
- 소상공인 311만명에 50만원 지원… 소비자 카드 결제 늘면 환급
- 강남서 “초등생 유괴 의심”… 잇단 신고에 불안감 확산
- 전동휠체어 이용자 74% 교통사고 위험… “장애인 보행 환경 개선을”
- 트럼프, ‘진보 아성’ 美 명문대들 전례없는 공격… 보수층 결집 노려[글로벌 포커스]
- “어르신 숨 잘 쉬는지 코밑에 손 대야 아나요”… 노인 돌봄 AI로 대체[허진석의 톡톡 스타트업]
- “순간 방심에 잘린 손가락, 5시간 만에 접합해 되살려”[병을 이겨내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