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트럼프 관세’ 맞은 철강…대미 수출 벌써 ‘휘청’
[앵커]
미국 트럼프 정부가 가장 먼저 관세를 부과한 품목인 철강 제품 수출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경기 위축 여파로 지난달 대미 수출액이 20% 가까이 줄었습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두세 달 뒤면 철강 관세로 인한 영향까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첫 소식,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조선업, 중장비 등에 활용되는 볼트를 만드는 업체.
한 달여 전 부과된 25% 관세 탓에 이미 미국에 갔어야 할 수출 물량이 창고에 계속 쌓여 있습니다.
[정한성/볼트 제조업체 대표 : "25% 관세를 현금으로 내야 되니까 그 사람들도 돈이 없다는 거예요. 물건 보내는 거를 좀 딜레이(지연) 시켜달라…."]
철강 파생상품도 이 정도인데, 철강업계 분위기는 더합니다.
[철강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시장 가격의 급격한 변동 및 상호 관세 등 추가 조치의 영향으로 미국 고객사의 구매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난달 대미 철강 수출량은 25만 톤.
1년 전보다 14.9% 줄었습니다.
수출액으로 따지면 19%가량 감소했습니다.
지금까지는 관세보단 경기 위축의 영향이 더 컸단 분석입니다.
그러나 주문부터 선적, 배송까지 석 달가량 걸리는 철강재 특성상 관세 부과 이후에 주문받은 물량에 미칠 여파는 통계에 아직 반영도 안 됐습니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겁니다.
[이재윤/산업연구원 탄소중립산업전환연구실장 : "관세를 부담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면 수출에 대한 위축 효과. 또, 관세 효과가 비단 미국 수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가 있어서…."]
실제 대미 수출 감소는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지난 3일부터 25% 관세 부과가 시작된 자동차 역시 이미 지난달 대미 수출이 10% 넘게 줄었습니다.
미국은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곧 추가 관세를 예고했고, 기본 관세 10%도 부과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정재우 기자 (jjw@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질문하는 기자 손목 ‘꽈악’ 권성동…이번엔 ‘비상한 조치’ 언급 [지금뉴스]
- 故오요안나 유족, 눈물의 호소…MBC 증인들, 대거 불참 [지금뉴스]
- 12.2조 추경 ‘쏠쏠한’ 소비자 활용법 총정리
- 청문회부터 탄핵심판 선고까지…6년 임기 마친 문형배·이미선 [현장영상]
- ‘윤 어게인’ 창당 보류 속사정…“잘해라 국민의힘” 글 남긴 김계리 [지금뉴스]
- [창+] 정치색 다르면 동료로도 가족으로도 싫다?
- 홍준표에게 ‘패밀리즘’이란…“형수 욕 안 하는 우리집” [지금뉴스]
- 대형 참사마다 쏟아지는 ‘막말’…실형은 단 1건
- 포장에도 중개수수료?…배민 시행 첫 주부터 ‘시끌’ [뉴스in뉴스]
- “3~4주면 중국과 타결할 것”…시진핑 통화했나요? 묻자 [지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