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LNG 협력 카드’로 美에 자동차·상호관세 딜 나서 [한미 2+2 통상협의]
美측 시나리오별 대응전략 점검
트럼프, 美 자동차 업계 반발에
일부 관세완화 검토 긍정 변수로
이날 협의에 우리 측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다. 회의는 백악관 인근 미국 재무부에서 진행됐다.
이번 2+2 협의는 미국 측 제안으로 통상 수장이 포함된 확장된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무역, 외환, 금융 전반을 아우르는 고위급 회의로 격상됐다는 평가다.
정부는 이번 협의를 통해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25% 상호관세 철폐 △자동차와 철강 품목의 관세 조정 △조선·LNG·무역균형 등 3대 분야 협력 강화를 주요 의제로 제시했다. 특히 한국 수출의 주력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고율 관세가 국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협상의 관건으로 부상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관세의 적용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에 따르면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주요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25% 고율 관세의 일부를 면제하는 안이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상품 제품에 예외 없는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나 미국 자동차업계의 반발과 자동차 가격 인상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완화 조치에 나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한국이 자동차 품목 관세 조정을 요구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긍정적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협의에서 최소한 상호관세 유예 조치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 '협의(consultation)'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도 이와 같은 배경에서다. 이후 미국과의 실무 협상에서 협정 틀 내 실질적인 관세 조정을 도출하는 것을 추진할 계획이다.
2+2 회의에 앞서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워싱턴DC 모처에서 협상 대표단과 사전 실무 협의를 갖고, 미국 측 반응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점검했다. 회의는 약 1시간20분간 비공개로 진행됐다.
최 부총리는 23일 워싱턴DC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에 앞서 각국 재무장관 및 국제기구 수장들과 잇따라 회동하며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중국 란 포안 재무장관과 면담하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립 10주년을 맞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 예정인 연차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 양국은 다자개발은행(MDB) 간 협력 강화 및 다음 달 중국이 의장국을 맡는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의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최 부총리는 한국이 올해 의장국을 맡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장관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중국 측 협조도 요청했다.
spring@fnnews.com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돌싱' 오정연, 과거 실패 트라우마…"男 불신 커" [RE:TV]
- 홍준표 "이재명 당선 시 초대 총리? 사실무근..그럴 일 없어"
- 서민재, '임신 갈등' 남친 저격 "내가 죽어주길 바라나?"
- "가슴 조금 아팠는데…" '웃음 가스' 흡입하고 사망한 21세 女 [헬스톡]
- 한국인과 결혼한 베트남女…“최소 600명 이상 男과 성매매, 성병까지 걸려”
- 오은영, 귀신 붙은 아들 사연에 "아빠한테 문제"
- 박명수, 아유미와 과거 열애 고백 "2시간 동안 사귀어"
- 사유리, 이상민 재혼 소식에 "오빠 나랑 양다리였어?"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여성암 전조증상 "장기 쥐어 짜내는 느낌"
- 김대호 "MBC서 14년 번 돈 다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