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MBK·홈플 ‘사기’의혹 증거 확보했나

김경민 기자 2025. 4. 24. 17: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서울 한 매장 앞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져 있다. 한수빈 기자

홈플러스의 부정거래 의혹를 둘러싼 금융당국과 MBK파트너스·홈플러스 간 싸움이 진실공방으로 흐르고 있다. MBK는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정황을 제시했으나 금융감독원도 확실한 ‘증거’를 입수했다고 맞불을 놓으면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24일 긴급 브리핑을 열어 “MBK·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 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는 근거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증거를 입수했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MBK·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한 상태에서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을 발행하고 회생신청을 단행한 ‘사기적 부정거래’의 혐의가 있다고 보고 있다.

MBK는 신용평가사와의 대응 기록을 제시하며 이날 금감원장 발언에 적극 반박했다.

MBK에 따르면 MBK는 지난 2월 25일 오후 4시쯤 한국기업평가에서 신용등급하락 예정 통보를 받은 뒤 이튿날 오후 2시쯤 홈플러스에 대한 1000억원의 자금보충약정과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환 조건 변경안을 제시해 이의신청을 했다. MBK가 홈플러스에 1000억원 규모의 ‘마이너스 통장’을 열어 지원하고 ‘부채’를 ‘자본’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부채비율을 줄여 신용등급 하락을 피하려는 조치를 취했다는 뜻이다.

MBK는 “신용 정기평정 심사 이전이 아닌 예정통지를 받은 후에야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는 것은 신용등급하락을 사전에 예견하지 못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ABSTB를 발행한 신영증권이 신평사의 신용등급 예정 통보에 앞서 이미 수요예측 및 발행규모를 확정했고, 신용등급 하락 다음날인 28일 신영증권으로부터 자금조달 규모가 기존의 40%로 축소된다는 통보를 받고 회생신청 작업에 착수했다는 게 MBK 주장이다.

이 원장은 그러나 MBK가 근거로 제시한 지급약정을 두고 “일부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이라며 MBK 주장을 일축했다.

이 원장은 그러면서 “최소 다음 달 말까지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해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MBK 검사 및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살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지난 21일 홈플러스와 MBK 관계자들을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했다. 향후 수사과정에서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이 등급 하락 가능성을 25일 오후 4시 이전에 인지했는지 여부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