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기 교수 “전남대 전신학교 출신 독립운동가 100여명 서훈 확인”···단일 학교 최대
전남대학교 전신(前身) 학교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100여명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남대 광주학생독립운동연구단 김재기 교수(정치외교학과) 연구팀은 광주농업학교·목포상업학교·여수수산학교 출신 독립운동가 100여명이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건국훈장 독립장·애족장 등에 추서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단일 학교 차원에서는 최대 규모로 예상된다.
김 교수팀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3·1 만세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1940년대 학생독립운동 단체 결성 등을 한 활동가들을 조사했다.
광주농업학교는 1919년 3·1 만세운동과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최정기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등 49명이 서훈에 추서됐다.
1920년에 설립된 여수수산학교 출신 서훈자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한 오우홍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등 33명이다.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주도 학교인 목포상업학교 서훈 추서자는 박종식 선생(건국포장) 등 16명이다.
전남대 교수로 재직했던 의과대 조규찬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문리과대학 이을호 선생(건국포장) 등도 서훈이 추서됐다.
연구팀은 투옥이나 징계로 학교를 떠난 미서훈자는 포함되지 않아 이를 포함할 경우 150명 이상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교수는 “단일 학교 규모로는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가 서훈을 받은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방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수립에 기여한 전남대 전신 학교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고증하고 선양 사업을 추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귀한 기자 g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힘 친한계 김근식 “제발 윤석열 다시 구속해주세요”
- [속보]윤석열, ‘부정선거 다큐영화’ 관람…파면 후 첫 공개 행보
- 충북 초등학교서 외부인 숨진 채 발견…학생들 한때 대피도
- 김용태, ‘부정선거’ 영화 관람 윤석열에 “계엄에 대해 반성·자중할 때”
- 이재명 “SNS가 제 목숨줄…없었으면 언론 왜곡에 가루 됐다”
- “쌀이 집에 넘쳐서 사본 적 없다” ‘보릿고개’ 와중 망언한 일본 농림수산상 결국 경질
- ‘아동학대 혐의’ 손웅정 감독 등 3명 3∼6개월 출전정지 징계
- 박정희 동상 놓고 “피해자가 용서하면 좋겠다”는 이인기 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
- [르포] “국힘 꼬라지 보니 안돼” “부산도 돌아섰다”···계엄에 싸늘한 낙동강, 심상찮다
- 백종원, 사재 출연 검토···더본코리아 이달 중 ‘상생위원회’ 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