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트럼프 관세’ 여파 미쳤나…3월 철강 수출, 15.7% 감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수입산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15%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0억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7% 감소했다.
3월 대미 철강 수출이 감소한 데에는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 영향이 일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철강업계, 현지 생산 확대해 대처할 방침 밝혀
(시사저널=조유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수입산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15%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0억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7% 감소했다. 3월 수출 중량도 71만 톤으로 15.5% 줄었다.
3월 대미 철강 수출이 감소한 데에는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 영향이 일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한국 등 주요국에 부과한 쿼터(할당량) 내 관세 면제를 없애는 방식으로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이 지난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받았던 연간 263만 톤 규모의 철강 면세 쿼터가 없어졌다.
업계에서는 그간 철강 관세 조치로 미국 시장에서 약 4분의 3의 점유율을 차지하던 미국 철강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어느 정도 높아진 후 새 균형점을 찾아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다만 철강 거래는 통상 수개월 전에 미리 이뤄지고, 관세 외에도 현지 경기 동향에 따른 수요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는 만큼 관세 부과 후 몇 주 이후 결과를 두고 영향을 속단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 철강업계는 장기적으로 관세 부과를 피할 수 있도록 현지 생산을 확대해 새 통상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오는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약 30조원을 투입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제철소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포스코 역시 현대제철의 제철소에 공동 투자해 물량을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수 회고록’ 나온다…‘노동 운동’부터 ‘계엄 반대’까지 가치관 담겨 - 시사저널
- 바둑판의 전설, 이기고 지는 데 도리 없는 《승부》 - 시사저널
- [강준만 시론] 윤석열, 왜 자폭했을까? 그가 역사에서 살아남는 법 - 시사저널
- 김용빈 “저에게 모든 걸 쏟으신 할머니 위해 노래 부른다” - 시사저널
- 가족을 욕정의 제물로 삼은 광기의 연쇄살인마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단독] 尹 지지자 주축된 ‘국민수사대’, 민주당발 가짜뉴스 언중위 제소한다 - 시사저널
- 이치로가 우상이지만, 이정후는 그와 가는 길이 다르다 - 시사저널
- 활동 중단에 ‘혐한’ 인터뷰까지…뉴진스의 행보 괜찮나 - 시사저널
- ‘장구의 신’ 박서진 “《현역가왕2》 우승 순간, ‘큰일 났다’ 생각” - 시사저널
- “10분 늦을 때마다 10만원씩 이자가 더 쌓입니다”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