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결국 원점으로…정부, 1년 2개월 만에 백기투항
[앵커]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이 다시 3천 명 수준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번에 천오백 명을 늘리기 전의 모집 인원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이 의료계의 격렬한 반발에 부딪혀 1년 2개월 만에 좌초했습니다.
고아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의 방아쇠를 당겼던 발표.
[윤석열/전 대통령/2024.2.6 : "의사 인력 확대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입니다. 오직 국민과 나라의 미래만 바라보며 흔들림 없이 의료개혁을…."]
결국 1년 2개월여 만에, 의대 증원 정책이 백지화됐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13일 만입니다.
정부는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고 사과했습니다.
[이주호/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의료 개혁이 후퇴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지난달 정부는 내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며, 의대생 복귀를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제적 압박 속에 복학을 선택한 의대생들은 상당수가 수업을 거부하며 단체 행동을 이어갔습니다.
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여율은 평균 25.9%, 수업 정상화 수준인 과반 수업 복귀가 이뤄진 대학은 10%에 그쳤습니다.
기대 수준에 못 미쳤는데도 정부가 먼저 백기를 든 겁니다.
이런 비난을 의식한 듯 정부는 대학 총장들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형식을 취했습니다.
마지막 카드까지 내민 만큼 의대생 징계 유예 등의 예외 조치는 없을 예정입니다.
[이해우/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 : "'왜 의대에만 저렇게 혜택을 주느냐?' 이런 얘기가 현장에서 들리거든요. 그래서 작년하고 상황이 달라졌다."]
의대 증원을 진두진휘했던 보건복지부는 "원칙을 바꾸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불편한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의대생·전공의 복귀할까?…환자단체 “대국민 사기극”
- 3분기 만에 또 ‘역성장’ 조짐…한은 “전망도 힘들어”
- 이재명 “K-방산 육성”…김경수 ‘기후 간담회’·김동연 ‘중원 공략’
- 국민의힘, 경선 미디어데이…‘4강’ 위해 정책 경쟁·소통 행보
- “워낙 오르니 팔러 왔어요”…천장에 지붕까지 뚫은 금값
- 배터리 ‘비닐백’ 넣으면 화재 안심? 실험해봤습니다
- “한 문항에 50만 원”…교사가 낸 문제, 학원에 팔려
- 66년 만에 종주국 미국에 역수출…“세계 최고 기술력 입증”
-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통계 102번 조작”
- 대형참사마다 ‘막말’…처벌은 ‘솜방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