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충돌' F-35 전투기, 결국 분해…본 기지 이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수리와 충돌한 '1100억원'짜리 F-35A 전투기가 비상착륙 3년 만에 분해됐다.
공중 운송이 사실상 불가능한 탓에 분해 상태에서 이르면 이번 주 본 기지인 청주 비행장으로 육로 이송될 예정이다.
17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5세대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A가 2주간의 분해 작업 끝에 이르면 이번 주 이송 작업을 시작한다.
정부 관계자는 "F-35A가 본 기지인 청주 비행장으로 옮겨지면 조종사교육과 정비사 훈련 장비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중 운송헬기 마땅치 않아 분해 후 이송
청주기지서 조종·정비 교육용으로 활용
독수리와 충돌한 ‘1100억원’짜리 F-35A 전투기가 비상착륙 3년 만에 분해됐다. 공중 운송이 사실상 불가능한 탓에 분해 상태에서 이르면 이번 주 본 기지인 청주 비행장으로 육로 이송될 예정이다.
17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5세대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A가 2주간의 분해 작업 끝에 이르면 이번 주 이송 작업을 시작한다. 이 관계자는 "이송 문제를 놓고 다양한 방안을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 민간 운송업체와 2000만원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기체가 손상된 F-35A는 지난 2022년 1월 독수리와 충돌하면서 서산 비행장에 비상착륙 했다. 엔진 등 300여곳이 손상됐는데 수리 기간만 4년, 비용은 1400억원으로 추산됐다. 신규 구매비용이 1100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셈이다. 결국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는 지난해 4월과 5월, 운용 2년 만에 폐기처분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송 전 분해 작업을 한 것은 기지인 청주 비행장으로 옮길 방법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공중으로 운송하려면 우리 군이 보유한 기동헬기 CH-47 ‘치누크’를 이용해 운송해야 하는데 F-35 전투기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다. 치누크의 적재중량은 1t 안팎. F-35A의 중량은 13.5t이다. 결국 공중으로 이동하려면 주한미군에 배치된 CH -53K‘킹 스탤리온’ 대형수송헬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CH -53K는 미군이 운용 중인 CH -53E 슈퍼 스탈리온을 개량한 최신형 대형 헬기다. 최대 16.3t의 화물 수송이 가능하다. 하지만 미국 측에서 주한미군 헬기 사용을 거절했다.
육상로를 이용한 이송도 만만치 않다. F-35A의 크기는 길이 15.7m, 높이 4.38m, 전폭 10.7m다. F-35A를 청주에서 서산까지 약 100㎞ 거리인데 육상으로 옮기려면 2차선 도로를 모두 통제해야 한다. 가로수 등 장애물도 많다. 결국 분해해야 한다.
정부 관계자는 "F-35A가 본 기지인 청주 비행장으로 옮겨지면 조종사교육과 정비사 훈련 장비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 및 방산 스페셜리스트 if@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80만원' 받고…초등생 딸과 목욕·음란행위 허락한 엄마 실형 - 아시아경제
- 4억 짜리 금괴 주인 찾아주고 사례비도 거절…10대 배달기사 선행에 中 감탄 - 아시아경제
- "유니폼 꽉 낀다…살찌면 해고" 전직 승무원 폭로 - 아시아경제
- "한국가면 이 우유 꼭 사야해" 공항 도착 中 관광객들 편의점으로 '우르르' - 아시아경제
- "차라리 퇴직하고 다시 시험 칠게요"…불만 폭발한 고용부 9급, 왜? - 아시아경제
- 러시아보다 더 두렵다…3조 들여 만든 '특수부대'의 진짜 표적은? - 아시아경제
- 실신한 67세 여성, 깨어나서 "나 41세야"…'이것'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과대포장 삼중컵" 지적한 방송인 줄리안, 카페 사장 반박에 결국 - 아시아경제
- 발리서 익사한 아들 시신 받았는데…"심장 어디갔어" 호주 유족 분통 - 아시아경제
- "주 3회 먹으면 사망 위험 1.5배↑"…국물 싹 비우면 위험한 日국민음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