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위험 가장 큰 계절은?"…SKT, 'AI 서베이' 오픈

한수연 2025. 4. 17. 10: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SKT AI 서베이(Survey)'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실시한 다양한 설문 가운데, 흥미성이 높거나 유의미한 정보를 주는 조사 위주로 SKT AI Survey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설문 결과·분석정보 홈페이지에 공개
스마트폰으로 SKT AI Survey 홈페이지에 접속해 설문 정보를 확인하는 모습/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SKT AI 서베이(Survey)'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크게 설문 응답자와 의뢰자 영역으로 구분된다. 응답자에 해당하는 SK텔레콤 이용자는 T멤버십 앱의 '미션' 탭에 들어가 정기적으로 게시되는 다양한 주제의 설문에 응하고, T플러스포인트를 지급 받는다. 적립한 T플러스포인트는 여러 T멤버십 제휴처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설문은 SK텔레콤이 자체 제작하거나 기업, 연구기관, 소상공인 등 외부 설문 의뢰를 받아 설계한다. 문항 작성과 응답 수집, 결과 분석까지 전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일반 조사 뿐만 아니라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설문 조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방문한 고객, 게임·여행·패션·투자 등 특정 영역에 관심이 많은 고객군을 타깃으로 SK텔레콤의 AI·빅데이터를 활용해 정교한 설문을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실시한 다양한 설문 가운데, 흥미성이 높거나 유의미한 정보를 주는 조사 위주로 SKT AI Survey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단순 설문 결과 뿐 아니라 AI가 분석한 시사점 등도 함께 제공된다.

SKT AI Survey 개념/자료=SK텔레콤 제공

앞서 따로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12월 SK텔레콤이 T멤버십 앱에서 자체 진행한 '산불 예방 국민 인식 조사'가 대표적이다. 사계절 중 산불 위험이 봄철에 집중됨에도 설문 응답자의 24%만 위험 계절로 봄을 골랐다. 가을(39%)과 겨울(31%)을 답한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산불 위험에 대한 기본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경각심을 도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설문을 통해 도출한 분석 정보는 AI 기술을 통해 자동 생성한다. 또한 AI 분석과 정보 생성에서 향후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도 활용할 계획이다. 

박준 SK텔레콤 AI 인텔리전스사업본부장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욱 확장된 영역에서 AI 인텔리전스 정보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수연 (papyrus@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