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실종자 사망… 사고 발생 6일, 124시간여 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엿새 만에 실종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16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8시11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붕괴 사고 현장에서 시행사인 포스코이앤씨 소속 근로자 A씨(50대)의 시신을 수습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13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엿새 만에 실종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16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8시11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붕괴 사고 현장에서 시행사인 포스코이앤씨 소속 근로자 A씨(50대)의 시신을 수습했다. 사고 발생 6일, 124시간여 만이다.
이날 소방당국은 사고 현장에 구조대원 6개대, 40여명과 구조견 7마리를 투입했다.
A씨는 교육동 컨테이너 인근에서 토사물에 묻힌 채 발견됐다.
이번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13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A씨와 굴착기 기사인 20대 B씨가 매몰됐으며 B씨는 사고 발생 13시간여 만에 발견됐다. B씨는 고립 초기부터 전화 통화가 가능했으나 A씨의 경우 사고 직후 휴대전화 전원이 켜졌다 꺼지기를 반복했으며 사고 발생 1시간여 뒤에는 아예 전원이 나가 위치 추적이 불가능해졌다.
소방당국은 A씨가 컨테이너에 있었다는 현장 관계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수색 작업을 벌여왔다. 하지만 비가 내리는 등 기상 악화와 지반 침하 등의 우려로 수색 작업에 난항을 겪어 왔다.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5일 차인 전날, 현장 지상에서 지하터널까지 전체 깊이 34.5m 가운데 21m 지점까지 굴착 작업을 했다. 확보한 지하터널에 소형 굴착기를 진입시켰으며 300t가량의 토사와 철제 구조물을 제거했다.
이후 이날 실종자 매몰 추정 위치까지 접근했고, 이날 오후7시30분께 내시경을 통해 A씨의 유품과 신체 일부를 발견해 8시3분께 A씨의 시신을 꺼냈다. 소방당국은 A씨의 시신을 중앙대 광명병원으로 이송시켰다.
김은진 기자 kimej@kyeonggi.com
김도균 기자 dok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양향자 "김문수·장동혁, 표에 눈먼 괴물 되어가 씁쓸"
- 김영훈 노동장관, 폭염 속 쿠팡물류센터 불시점검…“냉방 늘려야”
- [인사] 경기도
- 파주 실외수영장서 심정지 빠진 4남매 엄마 구한 용사들
- 인천서 길 가던 여고생 성폭행하려던 20대…불구속 입건
- ‘집중 호우’ 지하주차장 침수 우려… 인천시, 물막이판 1%뿐
- 장동혁 “美 협상 이틀전인데…中·北 눈치 보나? 李대통령 안보여”
- 경기도 찾은 박찬대 “통합, 내가 더 잘할 수 있어…이재명 정부 성공시킬 것”
- 인천 미추홀구 목욕탕 여탕·남탕 스티커 바꾼 20대 송치
- '하늘' 놓고 명칭 대립… 인천 서구, 제3연륙교 '청라하늘대교' 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