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14개 민자 하수처리시설 비용 40억원 줄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 용인시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운영 중인 관내 14개 하수처리시설의 운영 방식 변경을 통해 약 40억원의 비용을 줄이게 됐다.
변경안은 민간투자사업 중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운영하는 수지·기흥·구갈·모현 등 14개 하수처리시설의 운영비 가운데 전력비를 민간투자회사 대신 시가 직접 납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운영사에 지급하던 전력비 직접 납부
경기도 용인시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운영 중인 관내 14개 하수처리시설의 운영 방식 변경을 통해 약 40억원의 비용을 줄이게 됐다.
용인시는 '용인시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 4차 변경 실시협약안'이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 심의를 통과했다고 16일 밝혔다.
변경안은 민간투자사업 중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운영하는 수지·기흥·구갈·모현 등 14개 하수처리시설의 운영비 가운데 전력비를 민간투자회사 대신 시가 직접 납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시는 2005년 특수목적법인(SPC)인 용인클린워터와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 사업 실시협약'을 맺고 2010년 3월부터 2030년 2월까지 20년간 공공하수처리시설 13곳과 하수·분뇨처리시설 1곳을 BTO 방식으로 운영하도록 했다. BTO 방식은 민간투자회사가 SOC 시설을 지어 소유권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양도한 뒤 일정 기간 시설 관리 운영권을 부여받아 운영하는 것이다.
시가 이번에 전력비 직접 납부로 사업 방식 변경에 나선 것은 운영비를 둘러싼 운영사와의 갈등 때문이다. 운영사 측이 2018년 전력비 인상과 하수 유입 농도 증가를 이유로 시에 운영비 인상을 요구하면서 벌어진 소송에서 시가 패소하면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증가한 운영비 77억원을 추가 지급하게 됐던 것.
시는 이후 운영 여건이나 제반 사항이 변하더라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실시협약 변경을 추진, 3년간의 협상 끝에 시가 남은 운영 기간 동안 공과금 성격의 전력비를 직접 납부하고 사용료 단가를 인하하는 방안으로 운영비를 조정하기로 합의했다.
시는 협약안이 기재부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민간 위탁 관리 운영이 종료되는 2030년까지 약 40억원 상당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시는 다음 달 실시협약 변경안을 시 의회에 보고한 뒤 6월께 운영사와 실시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순식간에 시원해져"…폭염에 불티나게 팔린다는 日 냉장고 - 아시아경제
- 반백살부터 빠르게 늙는다…가장 먼저 무너지는 건 '이것' - 아시아경제
- "수돗물 드릴까요, 탄산수 드릴까요"…종업원 이 말은 '교묘한 전략' - 아시아경제
- 전신마비 여성도 칩 하나면 PC 조작…머스크의 '뉴럴링크', 英서도 임상시험 - 아시아경제
- 대통령 패가망신 엄포에도 삼전 EB로 유혹하는 꾼들 - 아시아경제
- 45만원 줘도 일손없어 썼던 '외국인력'…이젠 내국인 자리까지 잠식[건설위기 보고서] - 아시아경
- 360도 회전 놀이기구 추락…사우디서 최소 수십명 부상 - 아시아경제
- 남편 '중요부위' 절단 50대 아내…사위도 가담 정황 긴급체포 - 아시아경제
- "죽는 건 불법이야"…스페인 시골에 진짜 있다는 '법' - 아시아경제
- "일본여행 나도 간다…웬만한 현지 맛집 다 예약제던데" 발동동? 이제 걱정 접으세요 - 아시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