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잠과 싸우며 북극 온난화 비밀 풀었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극은 한여름에도 기온이 영하 10도에 이르다 보니 인간의 발길은 여전히 땅이 아닌 빙하에 머문다.
극한의 환경이라 일반 배는 정박할 수 없고, 쇄빙선을 타고 빙하를 깨며 진입해야 겨우 북극해를 항행할 수 있다.
이어 "이번 서북극해의 대서양화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온난화에 고온 대서양 바닷물
서북극해 유입 현상 밝혀내
북극 연구 한여름만 겨우 가능
8년간 매년 한달씩 현지 체류
극지는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
전세계 북극서 AI 연구경쟁도
북극은 한여름에도 기온이 영하 10도에 이르다 보니 인간의 발길은 여전히 땅이 아닌 빙하에 머문다. 극한의 환경이라 일반 배는 정박할 수 없고, 쇄빙선을 타고 빙하를 깨며 진입해야 겨우 북극해를 항행할 수 있다. 이런 극한의 장소에서 세계 최초로 기후변화가 서북극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한국 연구팀이 있다. 극지연구소의 조경호, 정진영, 양은진 박사 팀이다.
이들은 온도가 높고 염분이 많은 대서양 바닷물이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서북극해로 번지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이에 지난 2월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논문을 게재했다.
조 박사는 15일 매일경제와의 영상 인터뷰에서 "그간 동북극해에서만 관측됐던 대서양화(대서양 바닷물이 북극해로 올라오는 현상)가 서북극해에서도 시작됐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특히 빙하가 많아 관측이 어려운 해역에서 연구팀만의 노하우를 살려 관측했다"고 밝혔다.
북극 연구는 빙하가 줄어드는 여름에 주로 진행된다. 조 박사를 비롯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간 매년 한 달 넘게 북극에서 보냈다. 40~50개 정도의 측정점을 돌며 지난 1년간 북극 바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기록했다. 수심 50m가량 되는 지점에 측정 기기를 설치하는 것부터 노하우가 필요했다. 너무 얕으면 해빙이 설비를 끌고 가 유실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너무 얕아도 너무 깊어도 안 되기 때문이다.
조 박사는 "이 시기, 이 지점에는 해빙이 없고 수심 몇 미터 정도에 설치하면 기기를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데이터를 잘 측정할 수 있는지가 경험으로 쌓였다"며 "관측하는 연구자로서 생명이라고도 할 수 있는 관측 자료를 지키기 위해 농사를 짓는다는 마음으로 측정에 임했다"고 설명했다.
북극해에 나가면 가장 연구팀을 괴롭히는 것이 '잠과의 사투'다. 조 박사는 "두 측정점 사이의 거리가 보통은 4~5시간, 짧게는 1~2시간 정도"라며 "쇄빙선 위에 있는 동안은 밤낮이 없고 일단 측정점에 도착하면 야외로 나와 측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측정점 간 거리가 짧으면 채 잠에 들지도 못하고 다음 측정점으로 이동해야 해서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경우가 잦았다고 토로했다.
그런데도 연구를 이어갈 수 있는 동력은 "지구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곳이 극지이기 때문"이라고 조 박사는 말했다. 그는 "학부 때 해양학을 공부하면서 폭풍 피해, 하천이나 연안의 범람,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에 대해 연구했는데, 그 원인을 밝힐 수 있는 극지 연구를 하면 재해나 재난의 원인을 파악하고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서북극해의 대서양화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북극이라는 위치적 차별성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도 희소하기 때문에 한국을 비롯해 많은 국가가 생명과학, 인공지능, 딥러닝 등의 연구를 극지에서 경쟁적으로 펼치고 있다. 조 박사는 "향후 차세대 쇄빙 연구선이 건조되면 다른 국가가 관측하기 힘들었던 고위도 북극점 등을 관측할 수 있다"며 "그게 일종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인선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부선 “39세 청춘이 돈줄테니 만나자고…영화와 현실 구분 못하냐” - 매일경제
- “고맙다 중국”...희토류 수출 중단에 웃는 국내 관련주 - 매일경제
-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 매일경제
- “남의 전쟁에 한국군 끌려간다고?”...일본이 제안했다는 ‘원 시어터’ 뭐길래 - 매일경제
-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숨진 채 발견…함께 살던 용의자 50대 남성 검거 - 매일경제
- 코스피 팔아치우는 외국인, 이 종목 만큼은 샀다 … 수익률 높네 - 매일경제
- 美전략폭격기 B-1B 한반도 전개…한미연합 공중훈련, 대북 억제력 과시 - 매일경제
- 하루 5차례 1억 인출…“어디에 쓰실 돈이죠?” 은행원의 예리한 질문이 살렸다 - 매일경제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끝 사망? 가짜뉴스 어떡해야…” - 매일경제
- 원조 코리안특급의 극찬 “이정후, 우리 야구의 자랑이 될 것” 거침 없는 녀석들 가자!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