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아이비리그 나온 흑인 사망률, 백인보다 5배 높은 이유는
알린 T 제로니머스, '불평등은 어떻게 몸을 갉아먹는가'
미국 백인의 기대수명은 77.5세(2022년 기준), 흑인은 72.8세다. 약 40년 전인 1985년에도 백인의 기대수명은 75.3세, 흑인은 69.3세였다. 백인과 흑인의 수명 격차는 왜 수십 년간 바뀌지 않을까.
미국 사회는 환경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흑인이 백인보다 콜라와 햄버거를 더 많이 먹고, 운동을 안 해서 수명 격차가 발생했다는 가설. 건강 악화는 오롯이 개인의 책임이라는 시각이다. 알린 T 제로니머스 미국 미시간대 공공보건대학원 교수는 신간 '불평등은 어떻게 몸을 갉아먹는가'에서 이 논리를 차근차근 격파해 나간다. 그는 인종 간 수명 격차의 원인을 '정의롭지 못한 사회'에서 찾는다. 그러면서 "한 개인의 건강과 기대수명이 유전적 특징이나 생활방식보다는 그 개인의 경험,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물리적 환경에 더 크게 좌우된다"고 강조한다.
아이비리그 나온 흑인은?
개인의 건강이 그가 속한 사회경제적 여건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내용이다. 저자는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간다. 태어날 때부터 부여받은 계급, 이로 인한 차별이 지속적으로 그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건강 악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실례로 미국 사회에선 소득과 사회적 지위가 높다하더라도 흑인일 경우 백인에 비해 빨리 사망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가설이 아니다. 미국 동부 아이비리그 대학인 프린스턴대 출신인 저자는 2020년, 60대 초반에 대학 동기 중 11명이 그 직전 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중 3명이 흑인 남성이었다. 병원 마취과 과장, 뉴욕 로펌 변호사, 법무부 직원으로 셋 다 사회서 '잘나가던' 사람들이었다. 그때까지 동기 전체 중 약 6%(73명)만이 사망했는데, 흑인 남성으로만 놓고 보면 사망률이 32%로 월등히 높았다. 흑인 여자 동기도 12%가 사망했는데, 백인 여성 동기에 비해 사망률이 4배 높았다. 이런 경향은 또 다른 아이비리그인 예일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사망 원인도 차이가 있었다. 백인은 대부분 사고나 에이즈에 걸려 죽은 반면, 그해 사망한 3명의 흑인 동기는 모두 암으로 사망했다. 저자는 "유색 인종인 여자와 남자 동기 중에 사망한 이들은 압도적인 비율로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암으로 죽었다"며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사람이 성공을 위해 자신을 갈아넣을 때, 그 스트레스가 몸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테니스 선수 세리나 윌리엄스와 같이 세계적인 부와 명성을 가진 인물도 '흑인 여성'에 가해지는 은밀한 불평등을 피할 수 없었다. 윌리엄스는 혈전 병력이 있었고, 그래서 출산 당시 의료진에게 혈전이 생겼는지 CT 스캔을 해야 한다고 말했으나 무시당했다. 윌리엄스가 반복해서 요청한 끝에야 폐에 박힌 혈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저자는 "만약 윌리엄스보다 덜 부유하고, 덜 유명하고, 덜 끈질긴 사람이 그런 상황에 처했다면 아마도 그 사람은 죽었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미국의 비라틴계 백인 산모 사망률은 출생아 10만 명당 19.1명(2020년 기준)인 반면, 흑인 산모 사망률은 출생아 10만 명당 55.3명으로 3배 가까이 높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스트레스가 몸을 갉아먹는다
저자는 이를 '웨더링(Weathering)'으로 정의한다. 사전적으로 마모, 침식, 풍화를 뜻하는 웨더링은 이 책에서 인종, 민족, 종교, 계급, 성별, 성 정체성 등에 따른 차별과 편견에 의한 반복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점진적으로 끼치는 생리학적 작용과 과정을 의미한다.
칼리프 브로더라는 미국 흑인 소년 가정의 비극도 웨더링의 결과로 본다. 그는 16세 때 또래 학생 책가방을 훔친 범인으로 지목돼 수감됐는데(이후 무혐의 처리됐다), 가족에게는 보석 신청에 필요한 3,000달러가 없었다. 그래서 재판 받을 날을 기다리면서 악명 높은 라이커스 아일랜드 교도소에서 3년을 지냈다. 출소 뒤 심리적, 신체적 트라우마에 시달리던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의 엄마는 아들이 죽은 지 16개월 만에 심장마비에 이은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그의 나이 63세였다.
책은 웨더링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 중에서도 인종 차별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한국 독자에게 다소 거리감이 느껴질 수 있으나, 인종 차별의 의미를 '특정 집단을 사회적으로 차별, 배제하는 모든 허구적 이데올로기'로 넓게 정의한다면 어느 사회에서나 유의미한 이야기로 읽힌다.
송옥진 기자 clic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파면된 尹 관저 떠나면서도 반성 없었다... 대통령실 직원 200명이 배웅 | 한국일보
- 민주당 경선 룰, 국민 50%, 당원 50%로...선거인단 대신 '여론조사' 실시 | 한국일보
- [단독] 유동규 "범죄자 이재명 이길 사람 홍준표 밖에 없다" 지지 선언 | 한국일보
- 결혼 3개월 만에 숨진 아내, 범인은 남편이었다... 장례식장서 긴급체포 | 한국일보
- 김흥국 "김부선과 불륜설? 연락하거나 만나는 사이 아냐" [직격인터뷰] | 한국일보
- "내란수괴 사형? 참아야 돼?" 尹 사저 앞, 고성 오가고 실랑이까지 | 한국일보
- 11세 황민호 수입 얼마길래... 父 생일에 '용돈 100만 원' 선물 | 한국일보
- 40년간 딸 성폭행하고 임신시켜 낳은 손녀도 성폭행한 인면수심 70대 | 한국일보
- 윤석열·김건희에 '수고하셨습니다' 현수막 내건 아크로비스타 입주자들 | 한국일보
- 손담비, 오늘(11일) 득녀… "산모·아이 모두 건강" | 한국일보